외채 줄었는데… 상환능력 위태위태

외채 줄었는데… 상환능력 위태위태

입력 2009-02-21 00:00
수정 2009-02-21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나라가 해외에 진 빚이 7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스스로 덜 빌리고 더 갚아서가 아니라 ‘빚 갚으라.’는 요구에 떠밀렸거나 못 빌린 측면이 더 짙다. 갚을 능력도 가파르게 떨어져 위태위태하다.

이미지 확대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08년 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 결과다. 지난해 말 우리나라 대외채무(외채)는 3804억 9000만달러다. 전년 말(3831억 5000만달러)에 비해 26억 6000만달러 줄었다.

연간 기준 외채가 감소한 것은 2001년(-194억 3000만달러) 이후 7년 만에 처음이다. 차입 기간이 1년 이하인 단기외채 비중(39.7%)도 40% 아래로 떨어졌다. 2007년 말에는 41.8%였다.

유병훈 경제통계국 국제수지팀 차장은 “차입 기간이 1년 이상인 장기외채는 65억 4000만달러 늘어난 반면 단기외채가 92억달러나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대외채무가 줄었다.”고 분석했다.

●빚 독촉에 마지못해 갚고 새로 꿔오지는 못해

빚이 줄었다고 마냥 반길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큰 폭의 단기외채 감소 이면에는 지난해 9월에 터진 ‘리먼 브러더스 사태’가 자리하기 때문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해외 채권자들이 앞다퉈 자금 회수에 나서면서 우리나라도 어쩔 수 없이 상환에 나선 것이다. 4·4분기(10~12월)에만 외채가 450억 2000만달러나 감소한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이같은 감소 규모는 1994년 외채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래 최대 규모다. 4분기 감소분 가운데 거의 절반이 은행 차입금(203억달러)이다.

최근 몇년 새 해외에서 빚을 너무 많이 끌어온 것도 빚이 줄어든 한 요인이다. 우리나라는 2006년과 2007년에 각각 500억달러씩 1000억달러나 단기외채를 끌어왔다. 이같은 추세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기 직전까지 지속됐다. 지난해 9월 말 시점의 대외채무는 4255억 2000만달러로 2007년 말보다 오히려 400억달러 이상 많다. 결과적으로 금융위기가 극심했던 4분기에 집중적으로 ‘꿔온 돈’을 회수당하고 새로 꿔오지는 못해 대외채무가 줄어든 셈이다. 단기외채가 지난해 9월 말 1896억달러에서 12월 말 1511억달러로 감소한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외환보유액 감소…급한 빚 해결능력 현격 저하

빚 독촉에 대처할 능력이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는 점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이 능력을 보여주는 잣대가 유동외채 비율이다. 유동외채란 1년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장기외채와 단기외채를 말한다. 지난해 말 기준 유동외채는 1939억 6000만달러다. 같은 시점 외환보유액은 2012억달러다.

이 바람에 유동외채 비율(유동외채를 외환보유액으로 나눈 수치)은 2005년 말 41.1%에서 지난해 말 96.4%로 2배 이상 치솟았다. 외환보유액 가운데 즉시 회수가 어려운 돈이 적지 않다는 논란도 있는 만큼 상환 능력에 경고등이 켜진 셈이다. 게다가 최근 원·달러 환율이 다시 급등하면서 실탄(달러화) 개입에 따른 외환보유액 소진이 불가피해 걱정을 키운다. 한은측은 “유동외채 비율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지난해 9월 말(97.1%)보다는 다소 떨어졌다.”면서 “환헤지용 해외차입금 등 상환 부담이 적은 외채(1027억달러)를 제외하면 유동외채 비율이 77%”라고 지적했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용어 클릭

●대외채무 정부, 은행, 개인 등 우리나라 거주자가 해외에 진 금융부채를 말한다. 주식은 포함되지 않는다. 흔히 말하는 나랏빚(국가채무)은 정부가 진 빚만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대외채무와 다르다. 예컨대 정부가 발행하는 국고채는 무조건 국가채무로 잡히지만 이 국고채를 외국인이 갖고 있어야만 대외채무에 포함된다.
2009-02-2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