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광주 참사’ 정몽규 HDC그룹회장 자리 내놓을까

‘잇단 광주 참사’ 정몽규 HDC그룹회장 자리 내놓을까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22-01-16 14:55
업데이트 2022-01-16 14: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주에서 잇단 대형 참사를 일으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 정몽규(사진) HDC그룹 회장의 책임론이 확산하며 사퇴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해 6월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학동 참사’로 오너인 정 회장이 직접 사과했던 사태가 빚어졌는데도 대형 사고가 재발하며 안전·위기관리 시스템의 부재를 보여준데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수주 사업장에서 계약 파기 요구가 잇따르고, 신규 수주마저 타격이 불가피해서다. 이때문에 정 회장이 조만간 자신의 거취를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16일 재계와 현산 등에 따르면 정 회장은 이번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외벽 붕괴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대국민 사과문 발표 등의 형식을 통해 거취를 표명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 회장은 사고 발생 이튿날인 지난 12일 광주 참사 현장에 내려가 유병규 현산 대표 등과 사고 수습 방안 및 향후 대책 등을 논의했다. 이후 서울 자택으로 올라와 근본적인 수습책과 함께 자신의 거취 문제에 대해 숙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관계자는 “정 회장이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경영진들의 의견을 들으며 거취 문제를 고심 중인 것으로 안다”며 “회사 경영진들도 회장의 결단 없이는 이번 사태 수습과 대국민 신뢰 회복이 어렵다는 의견을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그룹 시총이 며칠새 5000억원 가까이 증발하고 ‘아이파크’ 브랜드 가치가 바닥에 떨어지는 상황에서 회장 퇴진이 아니면 국민적인 분노를 가라앉힐 방법이 없다는 공감대가 회사 안팎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정 회장이 현산 등 건설사 경영에서 완전히 손을 떼고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하는 방안 등이 다양하게 논의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 회사가 유병규·하원기 각자대표 체제로 운영 중이지만 여전히 그룹 회장인 정 회장이 주요 의사결정을 내려왔기 때문에 현재 맡고 있는 HDC그룹 회장직에서 물러나는 경영퇴진 가능성이 점쳐진다. 일각에서는 현산 대표이사 등 경영진 동반 사퇴 가능성도 제기한다. 발표 시기는 이르면 금주 중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지만 입장 표명이 더 늦어져서는 안 된다는 의견과 실종자 수색과 사고 원인 조사에 혼선을 줄수 있으므로 조금 더 기다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민경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