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정진철 靑인사수석 ‘블랙리스트’ 위증 혐의 수사의뢰

특검, 정진철 靑인사수석 ‘블랙리스트’ 위증 혐의 수사의뢰

입력 2017-05-01 17:14
업데이트 2017-05-01 17: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블랙리스트’ 재판서 “문체부 인사에 靑 개입 안 해” 증인 진술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정진철 청와대 인사수석비서관을 재판에서 위증한 혐의 등으로 검찰에 수사의뢰 했다고 1일 밝혔다.

특검은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정 수석은 박근혜 전 대통령과 김 전 실장의 사직 강요 지시를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전달했다는 공소사실을 전면 부인했다”고 수사의뢰 사유를 설명했다.

특검은 “정 수석의 허위 증언은 사건의 중요성과 추가적 증거인멸 가능성 등을 종합해 볼 때 매우 중대한 범죄로서 신속히 그 동기와 공모 여부 등을 수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 수석은 지난달 27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0부(황병헌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김 전 실장과 조윤선 전 문체부 장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재판에서 김 전 실장의 지시로 문체부 고위 간부들의 사직을 강요했다는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당시 정 수석은 김 전 실장 측의 신청에 따라 증인으로 채택돼 증언했다.

정 수석은 공판에서 “김종덕 당시 문체부 장관에게 1급 실장들의 사표를 받아내라고 요구한 것이 사실인가”라는 김 전 실장 변호인의 물음에 “그런 사실이 없다”라고 답했다.

이어 “김 전 실장이 다른 부처의 인사에 관여하지 않았고, 오히려 수석비서관들에게 ‘각 부처 인사에 관여하지 말라’고 여러 차례 주의를 줬다”고 진술했다.

이 같은 증언은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수사결과와 배치된다.

특검은 김 전 실장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시를 따라 문체부의 1급 공무원인 최규학 기획조정실장, 김용삼 종무실장, 신용언 문화콘텐츠산업실장에게 사직을 강요했다고 본다. 이 과정에서 정 수석이 김 전 장관에게 ‘사표를 받아내라’는 지시를 전달했다는 게 특검의 판단이다.

특검은 정 수석이 김희범 당시 1차관에게 문체부 공무원을 A(내보내야 할 사람), B(전보해야 할 사람), C(주의나 경고가 필요한 사람) 등 세 등급으로 나눠 전달한 사실과 관련해서도 위증을 했다고 지적했다.

특검은 위증 혐의와 별개로 정 수석이 사직 강요 등에 가담한 의혹에 관해서도 검찰에 수사의뢰했다.

특검 관계자는 “공판 특별대책반을 구성해 공판 과정에서 위증 혐의가 드러나는 관련자들을 즉시 수사의뢰하는 등 강력히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