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위험 가장 큰 시간…‘3월 금요일 오후 1~3시’

화재위험 가장 큰 시간…‘3월 금요일 오후 1~3시’

입력 2016-01-10 11:17
업데이트 2016-01-10 1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 지난해 화재건수 분석…22%가 담뱃불 때문 화재건수 1.8%↑, 재산피해 26.7%↓, 인명피해 17.3%↓

지난해 서울시에서 담뱃불을 부주의하게 다루거나 음식물 조리 중 실수를 해 발생한 불이 전체의 44%에 달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지난해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3천478건으로 전체 화재건수 5천921건의 58.7%를 차지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가운데 담뱃불과 음식물 조리 중 부주의로 인한 화재는 각각 1천300건(22.0%)과 1천295건(21.9%)이었다.

음식물 조리로 인한 화재는 전년보다 235건(22.2%) 증가했고 담뱃불 화재는 82건(5.9%) 감소했다.

이 밖에 전기적 요인(1천327건, 22.4%), 기계적 요인(300건, 5.1%), 방화 194건(3.3%) 등이 화재 원인이 됐다. 원인 미상도 532건(9.0%)이었다.

지난해 화재 건수는 전년보다 106건(1.8%) 늘었다.

인명피해는 사망 27명, 부상 222명 등 249명으로 52명(17.3%) 감소했고 재산피해도 146억9천200만원으로 53억6천100만원(26.7%) 줄었다.

재산피해액 3천만원 이상 화재 건수가 25건(21.0%) 줄었고, 원인별로는 방화로 인한 화재 피해액이 15억3천700만원(59.5%) 감소했다.

사망자가 발생한 화재 건수는 6건(19.4%), 5명 이상 다수 인명피해를 낸 화재건수도 3건(50.0%) 줄었다.

소방재난본부는 현장대응단을 만드는 등 재난현장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고 소방차 전용 신호제어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119 출동체계를 개선한 것이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불이 난 장소는 주택(2천423건, 40.9%)이 가장 많고 이어 음식점(642건, 10.8%)과 차량(434건, 7.3%) 등의 순이다.

인명피해가 발생한 장소는 주택이 147명(59.0%)으로 절반이 넘었다.

시기별로 3월이 607건(10.3%), 요일별로는 금요일이 896건(15.1%)으로 가장 많고, 시간별로는 오후 1∼3시(673건, 11.4%)와 오후 3∼5시(648건, 10.9%)가 요주의 시간대였다.

자치구별로 강남구(504건)와 서초구(303건)가 화재 건수가 많은 편이고 금천구는 131건에 그쳤다.

연기나 수증기, 타는 냄새를 화재로 잘못 알고 신고한 사례가 2천876건으로 하루 평균 8건꼴이었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화재 발생건수가 줄어들도록 주의사항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화재예방 시스템도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