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가정 6.4%, 고교생 1인당 사교육비 月 100만원 이상

충북 가정 6.4%, 고교생 1인당 사교육비 月 100만원 이상

입력 2016-01-03 10:59
업데이트 2016-01-03 1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충북도 ‘사회조사’ 결과 발표, 부모와 한집살이 79.8% 선호

초·중·고교생 자녀를 둔 충북 일반 가정의 사교육비 부담이 만만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생 자녀 1인당 사교육비로 매달 100만원 이상을 쓰는 가정이 100곳당 6곳에 달할 정도다.

충북도는 3일 도내 1만1천600가구를 대상으로 지난 8∼9월 실시한 ‘2015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고교생 자녀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로 31.2%가 30만∼50만원, 29.9%가 50만∼100만원, 25.6%가 10만∼30만원을 썼다고 답했다.

1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한 가정은 6.9%에 그쳤고, 100만원 이상 지출한다는 가정도 6.4%나 됐다.

중학생 자녀 1인당 사교육비는 30만∼50만원(38%)이 가장 많았고, 10만∼30만원(27.3%), 50만∼100만원(26.2%), 10만원 미만(4.6%), 100만원 이상(3.9%) 순이었다.

초등학생 자녀나 미취학 아동을 둔 가정도 적지 않은 사교육비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학 아동의 경우 1인당 월평균 10만∼30만원 쓴다는 가정이 47.1%로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의 경우에도 이 정도 금액을 답한 가정이 48.6%로 가장 많았다.

부모와 동거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9.8%가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도내 11개 시·군 중 보은이 89.7%로 가장 높았고 청주는 77.7%에 그쳤다.

성별로 보면 남성(82.7%)이 여성(76.6%)보다 부모와 한 집에 사는 것을 더 선호했다.

동거 이유로는 부모 부양의무(38.3%)가 가장 많았고, 가족 화합 용이(27.9%), 자녀 양육문제 해결(12.3%), 경제적 도움(11.6%), 자녀 교육효과 증진(9.6%) 순이다.

노인들이 겪는 가장 큰 고충은 ‘경제력’이 꼽혔다.

무엇이 가장 힘드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5.4%가 경제적 문제를 꼽았다. 다음은 외로움·고독(26.1%), 건강(14.2%), 사회적 소외(6.3%), 소일거리 부족(5.5%), 자녀와의 갈등(2.3%) 순이다.

노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는 경제적 보조(25.4%), 일자리 알선(18.7%), 사회적 여건 마련(17.5%), 의료제도 개선(15.3%), 취미생활 여건 개선(13%), 경로사상 확대(9.7) 등의 답변이 나왔다.

도민이 자주 이용하는 의료 기관으로는 치과(43.5%)가 꼽혔다. 종합병원도 36.3%에 달했고 한의원과 약국이 각 8.1%, 보건소 3.3% 순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