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영어 ‘한국형 토익’으로 대체 검토

수능영어 ‘한국형 토익’으로 대체 검토

입력 2010-01-07 00:00
업데이트 2010-01-07 1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 장관 “국가영어평가시험, 대입수시에 반영”…“토익, 연수, 봉사 등은 반영 금지”

 ‘한국형 토플·토익’을 목표로 정부가 개발 중인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이 현재 중학교 3학년생들이 치르게 될 2013학년도 대학입시에서부터 수시모집 때 전형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또 이 시험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외국어(영어) 시험을 대체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안병만 교과부 장관은 7일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13학년부터 대입 수시전형에서 대학들이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성적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문항 개발 작업을 하고 있으며 지난해 약 2만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3회 예비시험을 시행했다.

 교과부는 2008년 12월 영어교육 정책 추진 방안을 발표하면서 토플, 토익시험에 의존하는 비율이 너무 크다며 ‘한국형 영어시험’을 개발해 2012년 처음 시행한 뒤 수능 외국어(영어)영역을 이 시험으로 대체할지를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안 장관은 “시험은 성인용인 1급과 학생용인 2, 3급으로 개발되는데 고2가 되면 2, 3급 중 하나를 택해 여러 번 보고 일정 점수 이상 나오면 더는 안 봐도 되게 하려 한다”며 “수능 대체 여부는 2012년에 결정하겠지만 이런 식으로 가면 결국 수능에서 영어는 떨어져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과부는 2012년 공청회 등을 거쳐 수능 대체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며, 만약 대체하는 것으로 결론나면 ‘3년 예고제’를 거쳐 2015년 이후(2016학년도 이후)부터 수능 영어를 대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어 “수능을 대체하면 좋겠지만, 만약 안된다고 해도 2013년부터는 대입 수시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최근 총장들이 간담회를 했는데 수시에는 수능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그 외의 참고자료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했다고 들었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 금용한 영어교육강화팀장은 “수시모집에서 외국어 특기자 전형 등 특정 영어시험 성적을 요구하는 전형이 있는데 이런 전형에서 토익, 토플 대신 국가영어능력시험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일반 성인용인 1급 시험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시험이 돼야 하기 때문에 문항개발 등에 고심을 많이 하고 있다”며 “잘 개발해서 국내에서도 토익, 토플 등을 대체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 장관은 “중·고교 6년간 공부해도 말 하나 못하는 게 우리 영어교육의 현실이다.2, 3급 시험을 통해 실용영어를 키우고 고교만 나오면 누구나 회화를 할 수 있도록 영어교육을 바꿀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추진할 정책 가운데 입학사정관제와 관련해서는 “지난해가 입학사정관제 내실화의 해였다면 올해는 정착의 해로, 사정관 양성과 정규직화에 중점을 두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학교 내에서 쌓을 수 없는 스펙, 예를 들어 토플이나 토익, 해외연수, 봉사활동 등은 사정관들이 전형에 활용하지 않도록 현재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