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노선 다른 金·劉…“새누리로는 안돼” vs “그래도 바꿔보자”

노선 다른 金·劉…“새누리로는 안돼” vs “그래도 바꿔보자”

입력 2016-12-13 13:32
업데이트 2016-12-13 1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무성, 탈당 후 창당 고민…잔류의지 강한 유승민 끌어안을까

새누리당에서 친박(친박근혜)계와 일전을 앞둔 비박(비박근혜)계가 정치적 진로를 놓고 엇갈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선택지는 탈당과 잔류다. 김무성 전 대표는 탈당 후 창당을 고민하는 반면, 유승민 전 원내대표는 당에 남아 개혁하자는 쪽이다. 친박계는 둘 다 나가라고 한다.

김 전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노예’로 규정한 친박계와 더는 함께할 수 없다는 공감대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탈당과 잔류는 충돌하는 해법이다.

‘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고 박 대통령 탄핵소추가 추진될 때부터 비박계에선 탈당론이 움텄다. 가장 먼저 박차고 나간 게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김용태 의원이다.

현역 의원의 추가 탈당이 나올 수 있다는 예상과 달리 지난 9일 탄핵안이 가결될 때까지 ‘불편한 동거’는 이어졌다.

그러나 이제 탈당을 고려할 때가 됐다는 게 김 전 대표 생각이다. 그는 13일 “탈당해 신당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심각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 새누리당으로는 좌파의 집권을 막을 수 없다. 친박들이 장악한 현재의 새누리당은 그 어떤 변신을 하더라도 국민이 진정성을 믿지 않는다”는 이유를 들었다.

탈당·창당을 결행할 경우 ‘신보수’와 ‘중도’ 세력을 규합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국민의당과 손잡거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영입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김 전 대표는 “숫자 같은 건 생각 안 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신당이 바람을 타려면 파괴력이 중요하다. 탈당 대열에 얼마나 많은 의원이 합류할지는 미지수다.

김 전 대표의 등을 떠미는 친박계의 한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탈당 깃발에 설 의원은 한 자릿수에 불과할 것”이라고 그의 영향력을 평가절하했다.

이 때문에 김 전 대표로선 대권 주자로서 입지를 굳힌 유 전 원내대표와 동반 탈당하는 게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이들의 동반 탈당은 비박계의 대규모 이탈을 촉발할 전망이다. 비상시국위원회 대변인인 황영철 의원은 “나가게 되면 의원 숫자가 30명 이상은 될 것”이라고 했다.

문제는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탈당은 마지막 카드”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당 안에서 당 개혁을 위해 끝까지 투쟁하겠다”며 잔류의지를 보였다.

둘 사이에 탈당 관련 의견이 오갔다는 추측에 대해서도 유 전 원내대표는 “탈당 관련해서 어떤 얘기도 들은 바가 없다”고 일축했다.

“새누리당은 정치적 수명이 다했다”는 김 전 대표의 판단과 “그래도 당 개혁을 위해 최선을 다해보자”는 유 전 원내대표의 노선이 엇갈리는 셈이다.

다만 유 전 원내대표로서도 친박계가 당권을 틀어쥔 상황에서 판을 뒤집을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게 고민일 수밖에 없다.

오는 16일 원내대표 경선, 이후의 당권 투쟁에서 비박계가 연패할 경우 유 전 원내대표가 받는 압박도 커질 수 있다.

일각에선 김 전 대표와 유 전 원내대표가 ‘정치적 동반자’로 지내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선 불출마를 선언한 김 전 대표는 5년 단임 대통령제를 바꾸는 개헌을 고리로 자신의 정치적 미래를 타진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대권 도전 의지가 강한 유 전 원내대표는 개헌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