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측, ‘대화록 수사’ 소환불응 방침 檢에 공식통보

盧측, ‘대화록 수사’ 소환불응 방침 檢에 공식통보

입력 2013-08-01 00:00
업데이트 2013-08-01 16: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측은 1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사태에 대한 검찰수사와 관련, 관련자들의 소환 불응 방침을 검찰에 공식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무현재단은 노무현정부 시절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지낸 박성수 변호사를 통해 이 사건을 담당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 김광수 부장검사에게 이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고 재단 핵심인사가 전했다.

앞서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전날 특검 실시를 거듭 촉구하면서 “특검으로 공정하고 중립적인 수사가 담보될 때까지 그 누구도 검찰 수사에 협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재단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민주당의 방침을 토대로 이번 사건의 잠재적 조사 대상자들의 의견을 취합해 입장을 정리한 것”이라며 “검찰이 민주당이 고발한 대화록 불법유출 및 공개사건은 수사도 안 하면서 실종 의혹에 대해 여론몰이식으로 호도하는 상황에서 공정한 수사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이번 입장을 정하는 과정에서 민주당 문재인 의원의 의견을 별도로 구하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현재 노무현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일부 인사들이 이번 사건과 관련, 검찰로부터 소환 통보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법제사법위 소속 민주당 이춘석, 박범계, 전해철, 서영교 의원도 이날 서초구 대검찰청을 항의방문해 특검이 도입될 때까지 검찰 수사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노무현정부에서 박 의원은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전 의원은 민정수석비서관을, 서 의원은 춘추관장을 각각 지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