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당선인, MB 임기말 특사 반대..새정부 부담 고려

朴당선인, MB 임기말 특사 반대..새정부 부담 고려

입력 2013-01-26 00:00
업데이트 2013-01-26 1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설 특사설 나올때부터 부정적 기류..비판여론에 ‘제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26일 이명박 대통령이 단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설 특별사면에 대해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고 나선 것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의중’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현직 대통령과 새 대통령 당선인의 정면충돌을 피하기 위해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의 발표라는 형식을 빌렸을 뿐 사실상 특별사면에 대한 박 당선인의 반대 표명으로 봐야한다는 것이다.

윤 대변인도 특사에 반대하는 언론 브리핑을 한 뒤 “박 당선인과 충분히 상의했다”고 말했다.

박 당선인은 2월25일 새 대통령으로 취임하기 전까지는 현직 대통령을 최대한 존중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이명박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 설 특사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이렇다 할 언급을 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 당선인측이 특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공식 표명한 것은 이번 설 특사를 둘러싼 국민의 부정적 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다수의 국민은 임기말 대통령이 관행적으로 단행해온 특사로 권력형 비리나 부정부패에 연루돼 형을 살고 있던 인사들이 대거 풀려나는 모습을 비판해왔고 이번에도 크게 다르지 않은 분위기다.

박 당선인은 특히 이 대통령의 마지막 특사가 새 정부에 부담이 될 것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대선기간 ‘특별사면권 제한’ 입장을 밝힌 상황에서 뿌리가 같은 현 정부가 특사를 단행한다면 자신의 약속과 배치될 수밖에 없고, 그 부담은 고스란히 새 정부가 떠안을 수밖에 없다는 상황 판단을 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 당선인은 지난해 11월 경제민주화 대선공약을 발표하면서 대기업 지배주주ㆍ경영자의 중대 범죄에 대해 사면권 행사를 제한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앞서 7월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회에서는 “대통령의 사면권을 분명하게 제한해 무분별하게 남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무전유죄 유전무죄’ 같은 말이 국민에 회자되고, 돈 있고 힘 있으면 자기가 책임을 안 져도 되는 상황이 만연된다면 국민에게 법을 지키라고 해도 와닿지도 않는다”고 지적했다.

청와대에서 애초 설 특사 얘기가 흘러나올 때부터 박 당선인은 내켜하지 않는 분위기가 감지됐다.

조윤선 당선인 대변인은 지난 9일 기자들에게 “청와대가 당선인과 그 문제(특사)로 의견을 나눈 바 없다. 명시적으로 의견을 서로 교환한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사실상 반대한다는 신호를 보낸 것인데도, 이 대통령이 특사를 단행할 것으로 알려지자 더 늦기 전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판단을 한 것 아니겠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