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쇼핑이 대세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연간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2018년 114조원이던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지난해 227조원으로 약 2배 늘었다. 사람들이 온라인 소비를 선호하는 이유는 접근성과 가격 경쟁력 때문이다. 클릭 한 번으로 전 세계 제품을 비교하며 고를 수 있다. 판매자들은 매장 유지비나 인건비 부담 없이 저렴한 가격으로 물건을 제공한다. 하지만 온라인 소비 증가에는 부작용도 있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낸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소비 증가는 물가안정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고용에는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상품 판매액에서 온라인 비중은 2017년 14%에서 지난 2분기 현재 27%로 두 배가량 불었다. 이 기간 중 서적·문구, 화장품 등 9개 상품의 온라인 소비 비중이 1% 포인트 상승하면 소비자 물가는 1.1% 낮아지는 것으로 추산됐다. 온라인 소비가 소비자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온라인 소비 확대는 고용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소비 비중이 1% 포인트 늘어나면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에서 4만 2000명의 취업자가 줄었고, 운수·창고업에서는 8000명이 늘었다. 다른 업종에서는 눈에 띄는 변화가 없었다. 결국 1년간 평균 3만 4000개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
온라인 소비 증가는 산업 구조에도 영향을 미친다. 아마존, 쿠팡 같은 빅테크는 여러 말 필요없이 괄목할 성장세를 보였다. 온라인 소비가 시대적 대세라면 그에 따른 혜택은 늘리고 부작용은 최소화하는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 도소매업 종사자들의 온라인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업종 전환을 도와야 한다. 라이더 등 특수고용직을 위한 사회안전망 설계와 빅테크의 독과점을 막는 방안도 절실하다. 세상이 달라지는 만큼 정부가 세심하게 신경써야 할 일이 많아진다.
박현갑 논설위원
2024-10-3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