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략미사일기지를 시찰하고 발사 관련 시설 요소별 기능과 능력, 전략 미사일 전투직일 근무(당직 근무) 상태 등 나라의 안전과 직결된 전략적 억제력의 가동 준비 태세를 점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3일 보도했다. 2024.10.23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러시아에 군인들을 파견했지만 막상 전장에서의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과 함께 탈영자가 나올 경우 김정은 정권에 타격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9일(현지시간) 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 소속 앤드루 여 선임연구원과 해나 포먼 선임연구조교는 ‘북한 병력의 러시아 배치가 갖는 지정학적 의미는 무엇인가’ 제하 보고서에서 북한이 파견한 폭풍군단에 대해 “침투와 암살 작전을 위해 훈련된 엘리트 병력”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보고서에서 “(북한 병력이) 전선에 파견된 러시아 신규 징집병들보다 더 많은 군사 훈련을 받았다”고 평가하면서도 “언어와 문화, 훈련과 전투 원칙의 차이로 병력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어 북한군이 전투에서 얼마나 성과를 거둘지는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북한 병력이 러시아 부대와 완전히 융화할 때까지는 양측의 기대만큼 성과를 내기 힘들 것이라는 것이다.
이번 파병으로 북한이 얻을 수 있는 이익에 대해선 “러시아로부터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제적 이익과 군사기술 지원”이라고 했다. 일각에서는 이미 군사정찰위성 기술이 이전됐다는 보도도 나왔다. 또 서방과의 실제 전투 경험을 쌓으며 전투 기술의 효능을 시험할 기회를 얻는 것도 북한의 큰 이익이다.
1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군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VDI)가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인들이 줄을 서서 러시아 보급품을 받고 있다고 공개한 영상. 2024.10.20 우크라군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 X캡처
다만 연구원들은 북한에도 리스크가 따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들은 “북한 정권이 마주한 한 가지 리스크는 군인들이 전장을 버리고 우크라이나나 한국으로 탈출을 모색할 가능성”이라고 했다. 북한의 러시아 파병 초기에 18명의 북한 군인이 우크라이나와의 국경에 인접한 러시아 본토에 배치됐다 탈영했다는 보도도 나온 바 있다. 이들은 현재 모두 체포돼 러시아 당국에 구금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원들은 “우크라이나 병력에 투항하거나 붙잡힌 북한 군인들은 러시아나 북한으로 돌아가기를 원치 않을 수 있다”라며 “망명하려 들거나 한국 당국으로의 송환을 요구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실제 이런 일이 벌어질 경우 “김정은 정권에는 수치스러운 타격이 될 것”이라면서 한국 측이 우크라이나를 도와 북한 군인들의 탈영을 독려하는 심리전을 펼칠 수 있다고도 봤다.
한편 북한이 러시아 파견 병력에 ‘처형조’도 딸려 보냈다는 주장도 나왔다.
지난 29일 YTN ‘뉴스 PLUS’에 출연한 김열수 한국군사연구원 안보전략실장은 파병된 북한 군인이 탈북하는 것을 막기 위한 이른바 ‘처형조’가 함께 러시아로 파병됐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 실장은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30명당 통역사 1명, 러시아군 3명이 배치됐다”며 “이는 전투 효율성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군은 러시아나 우크라이나 지형에 익숙하지 않고 한 번도 연합훈련을 해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탈북하지 못하도록 처형하는 ‘처형조’는 북한에서 따로 갈 것”이라고 추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