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 전경.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진료를 받은 부산지역 학생이 매년 늘어 지난해에는 1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교사노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한 최근 5년(2019~2023년) 특정 질병코드 분류별 진료 인원 현황을 보면 ADHD로 진료받은 지역 학생 수가 지난해 9660명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ADHD 진료를 받은 학생 수는 2019년과 2020년 각각 5155명, 5138명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는데, 2021년에는 5972명으로 늘더니, 2022년에는 7558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학습 기간에 ADHD 진료를 받은 학생 수가 두드러지게 증가한 셈이다. 지난 5년간 진료 인원이 가장 많은 나이는 9세가 3519명으로 가장 많고, 8세와 10세가 3427명으로 다음이었다.
이처럼 초등학교 2~4학년에 해당하는 나이에서 ADHD 진료를 받은 학생이 많은 편이지만, 취학 전 연령인 6세와 7세는 1313명, 2920명으로 상대적으로 적다.
교사노조는 학부모들이 자녀가 성장하면 괜찮아질 것이라는 판단으로 진료받을 생각을 하지 않다가 취학 이후 학습량이 증가하면서, 학업을 따라가기 힘들어하거나 교우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진료를 받으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면서 과거보다 학급당 학생 수가 줄었지만, 교사들이 학급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 ADHD 등 정신건강의학적 진료가 필요한 학생 수 증가를 꼽았다. 특히, 학부모가 진료를 자녀가 정신건강의학적 진료를 받는 것을 피하거나, 자체적으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이에 따라 교사노조는 부산시교육청과 부산시에 교사가 진료를 권유한 경우 교내 전문 기구의 심의를 거쳐 의무적으로 검사를 받게 하는 등 조치가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ADHD는 치료 시기를 앞당길수록 학업 역량과 사회적 기능 향상 등 효과가 크기 때문에 교사가 진료 제안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교사노조 관계자는 “초등 담임교사는 학생과 보내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ADHD 증세 등을 잘 포착하지만, 학부모는 자녀가 정신건강의학적 진료를 받는 것을 부정적으로 인식한다. 때로는 교사의 진료 권유를 학부모가 자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표출로 받아들여 민원 발생, 교권 침해로 이어지기도 하는 만큼 부산시교육청과 부산시가 해결 방안 마련에 나서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