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국제걷기대회가 26∼27일 이틀간 트레킹 도시 원주에서 열려 외국인 참가자들이 청명한 가을 날씨를 만끽하며 걷고 있다. 원주시 제공
지난해 우리나라에 석 달 이상 거주한 외국인이 약 246만명으로 파악됐다. 역대 최대 규모로 대구시 인구(약 238만명)보다 많으며 총인구(5177만여명)의 4.8%다. 증가 추세를 감안하면 우리나라는 내년에 아시아 최초로 다문화 국가가 될 전망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는 총인구에서 외국인 주민의 비율이 5%를 넘으면 다문화·다인종 국가로 분류한다.
행정안전부의 ‘2023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주민의 57.8%인 약 142만명이 수도권에 살고 있다. 경기도가 약 81만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45만명)과 인천(16만명)이 뒤를 잇는다. 전국 시군구 중 주민 대비 외국인이 5% 이상인 곳은 전남 영암, 충북 음성 등 127곳으로 전년보다 30곳 늘었다. 외국인 주민의 증가는 외국인 근로자와 유학생이 전년보다 각각 17%, 9% 늘어난 것이 주요 배경으로 보인다.
이제는 길거리에서 외국인을 마주치는 것이 익숙한 일이 됐다. 외국인 근로자는 산업현장이나 농어촌의 필수인력이다. 대학도 외국인 유학생이 없으면 운영이 힘들 만큼 비중이 커졌다. 그런데도 우리 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 시선은 여전히 냉랭하다. 외국인 주민을 출신국이나 외모, 종교 등을 이유로 차별하는 행태가 완고하다.
다문화 국가가 된다는 것은 외국인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 된다는 뜻이다. ‘백의민족’이라는 배타적 의식을 넘어 다문화 사회에 걸맞은 제도 정비와 국민 인식 개선이 절실한 시점이다. 언어나 가치관, 생활양식 등의 차이로 인한 갈등을 예방하고 서로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한국어 교실 등 직접적 지원책은 물론 외국인이 우리 문화를 익힐 수 있도록 적응 프로그램도 늘려야 한다. 제도 정비와 인식 개선 노력이 병행돼야 외국인 주민을 노동력 수단이 아닌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동등하게 대우하는 성숙한 사회로 나아갈 수가 있다.
2024-10-28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