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데믹 베이비’ 효과… ‘출산율 0.7명의 늪’ 벗어날까

‘엔데믹 베이비’ 효과… ‘출산율 0.7명의 늪’ 벗어날까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입력 2024-10-24 00:14
수정 2024-10-24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출생아 증가율 14년 만에 ‘최고’

8월 출생아 수, 2개월 연속 증가세
코로나19 때 미룬 결혼 증가 원인
“기저효과 탓” 낙관론 경계 주장도
이미지 확대


지난 8월 출생아가 1년 전보다 1100여명 늘면서 아기 울음소리가 두 달 연속 커졌다. 추락을 거듭하던 출산율이 바닥을 다지고 있거나 반등의 징후라는 분석에 힘이 실리지만 일각에선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8월 출생아는 2만 98명으로 지난해보다 1124명(5.9%) 늘면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8월 기준으로 2012년(2095명) 이후 12년 만의 최대폭이다. 증가율로 보면 2010년(6.1%)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다. 출생아는 지난 4~5월 늘었고 6월에 감소했다가 다시 플러스로 돌아섰다. 분기 기준으로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증가 흐름을 이어 갈 가능성이 커졌다.

‘엔데믹 베이비’들이 출생아 증가를 이끌었다. 통계청은 “코로나19로 지연됐던 결혼이 2022년 하반기부터 지난해까지 집중됐던 영향과 지난해 출생아가 적었던 기저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가 끝난 이후 결혼한 이들이 첫째 아이를 낳으면서 최근 출생아가 늘었다는 얘기다.

상당수 전문가들은 곤두박질치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이 ‘바닥 다지기’ 수순에 들어갔다고 봤다. 합계출산율은 2015년 1.24명을 정점으로 지난해 0.72명까지 8년 연속 내려앉았다. 올해 1분기에는 0.76명, 2분기 0.71명이었다.

유혜미 저출생대응수석비서관은 SBS 뉴스에서 “올해가 저출생 반등의 원년이 될 수 있다”며 “저출생 반전의 신호가 보이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이삼식 한양대 고령사회연구원장은 “현재 출산율은 바닥에 와 있는 상태”라며 “정책적 지원이나 사회구조 변동에 따라 출산율이 좌우되겠지만 더 떨어지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상림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도 “올해 출산율은 작년보다 약간 높거나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김정석 한국인구학회장은 “최근 흐름이 바닥 다지기나 반등의 강력한 징후로 볼 만한지는 의문”이라며 “아직 출산율을 반등시킬 만큼 사회적 변화가 크지 않은 만큼 차분히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편 혼인도 5개월째 증가세를 이어 갔다. 8월 혼인 건수는 1만 7527건으로 1년 전보다 2917건(20.0%) 늘었다. 증가율로는 월간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81년 이후 8월 기준 가장 높다.
2024-10-2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