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장] 환상이 사라진 ‘대통령 유적’의 고민

[서울광장] 환상이 사라진 ‘대통령 유적’의 고민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4-10-22 01:22
수정 2024-10-22 01: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문의는 대통령별장 청남대 고장
관람객 감소에 주민 삶도 ‘흔들’
두루봉유적 등 정체성 찾기 한창
같은 처지 청와대 ‘벤치마킹’해야

지난 주말 ‘대청호 두루봉 물빛축제’가 열린 청주 문의를 찾았다. 무대가 면소재지인 미천리의 문의향교 앞 사거리에 당당하게 마련된 것은 이 작은 마을축제에 거는 주민들의 기대가 반영됐다고 해도 좋을 것 같다. 무대에서 대청호로 이어지는 거리에는 난장이 펼쳐졌으니 잔치 분위기는 제대로 났다.

문의는 조선시대 충주목 문의현이었다. 하지만 향교만 제자리일 뿐 지금 보이는 면소재지는 1980년 대청댐 완공 이후 수몰 주민들이 이주한 이후의 모습이다. 문의는 1983년 조성된 대통령 전용별장 청남대가 있는 고장이다. 2003년 개방된 이후 한동안은 문의를 지나는 모든 도로가 교통체증을 빚을 만큼 많은 관람객이 몰리기도 했다.

대청호 경관은 세월이 흘러도 변함이 없을 테니 찾아오는 손님은 앞으로도 아주 적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개방 20년을 훌쩍 넘기며 대통령이 어떻게 살았을지에 대한 궁금증이 사라진 이후에도 다시 찾을 이유는 그다지 없는 게 사실이다. 지난해 말까지 청남대를 찾은 이는 1422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 놀라운 방문객 숫자를 보면 청남대에 호기심을 가진 사람은 이미 대부분 다녀간 것이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문의는 산과 강이 어우러진 절경이지만 그럴수록 농사지을 땅은 충분치 않다. 그동안은 관광산업으로 활로를 찾을 수밖에 없었지만 대통령전용시설 해제 이후에도 상수도보호구역으로 묶여 개발은 원천봉쇄됐다. 농사짓던 땅을 댐 건설로 잃어버린 주민들은 지금도 생계가 막연하다고 하소연한다.

주민들이 스스로 ‘대청호 두루봉 물빛축제’를 마련한 것은 한마디로 이런 어려움 때문이다. 청남대의 존재로 그동안에는 최소한의 지역경제가 유지됐지만 관람객이 줄어들면서 이마저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는 위기 의식의 발로가 아니었을까 짐작한다. 그런데 축제 이름이 의미심장해 보인다. 두루봉이란 역사책이나 문화유산 해설서에만 나올 뿐 검색이 되지 않는 이름이기 때문이다. 석회암으로 이루어졌던 두루봉은 시멘트 원료 채굴작업으로 이미 봉우리가 깎여 나갔으니 이름이 남아 있을 이유도 사라진 것이다.

그럼에도 한번쯤은 들어 봤을 두루봉유적은 문의에 있는 구석기시대 동굴 문화유산이다. 충북대박물관의 10차례 발굴조사로 사람뼈와 석기는 물론 동굴곰, 옛코끼리, 큰원숭이 등의 짐승뼈가 출토됐다. 구석기시대 두루봉 사람들의 생활을 복원한 그림은 중학교 국사교과서에도 소개돼 있다. 하지만 지금 두루봉 일대는 채굴이 마무리되지 않은 듯 철조망과 펜스로 가로막혀 내부를 들여다보기조차 어렵다.

결국 ‘대청호 두루봉 물빛축제’라는 이름에는 그동안 청남대가 대표하던 문의의 이미지를 대신할 정체성을 다시 세우겠다는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싶다. 축제를 기획한 두 주역은 문의초등학교 교사와 학부형인 마을 서점 주인이라고 한다. 앞서 55명의 전교생은 충북대를 찾아 두루봉유적의 발굴 과정을 듣고 박물관에서 출토 유물도 둘러봤다. 축제 기획자이자 진행자인 서점 주인은 그렇지 않아도 지역문화운동가로 활동하고 있었다. 실제로 축제는 관광객이 아니라 문의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즐거움과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분위기를 띄우고 있었다.

그렇다고 문의의 미래가 아직 밝다고 할 순 없다. 그럴수록 구석기시대 이후 문화가 켜켜이 쌓인 고장으로 문의의 이미지를 다시 세우려는 주민들의 노력은 보상받아야 한다. 그들이 고을 중심 문화로 내세운 두루봉유적도 이제 본격적인 정비가 이뤄져야 한다. 주민들은 문의의 미래가 청남대 관광이 아니라 높아진 문화와 교육 수준에 매력을 느낀 다른 지역 사람들이 찾아와 터 잡는 고장으로 만들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없이 외치고 있었다.

청남대에 대한 기대를 잃은 문의 주민들을 보며 또 다른 ‘대통령 유적’인 청와대를 떠올린다. 한때 구름 인파를 모았다는 점에서 둘은 닮은꼴이다. 하지만 청와대를 찾는 사람이 줄어드는 속도는 청남대보다 훨씬 빠른 듯싶다. 청와대를 어떤 공간으로 만들 것인지는 이제 원점에서 다시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문의 주민들만큼만 고민하면 해법은 어렵지 않게 나올 것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이미지 확대
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논설위원
2024-10-22 3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