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김규나 “역사왜곡 정당화” 주장
“한림원, 명단 늘어놓고 선풍기 돌렸나”
“부끄럽고 슬프다” “10억 상금은 부럽네”
‘오쉿팔’, ‘깨시민’ 등 멸칭 써가며 폄훼
소설가 한강이 2016년 5월 24일 세계적인 권위의 인터내셔널 부커상 수상 관련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서울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소설가 한강(54)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는 ‘국가적 경사’ 속에, 한 현역 작가가 이를 폄훼하는 극언을 쏟아냈다.
소설가인 김규나 작가는 10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노벨상 가치 추락, 문학 위선 증명, 역사 왜곡 정당화”라고 이번 노벨문학상 수상의 의미를 자의적으로 해석했다.
김 작가는 “(노벨상) 수상 작가가 써 갈긴 ‘역사적 트라우마 직시’를 담았다는 소설들은 죄다 역사 왜곡”이라며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다룬 ‘소년이 온다’와 제주 4·3을 다룬 ‘작별하지 않는다’를 언급했다.
그는 “‘소년이 온다’는 오쉿팔이 꽃 같은 중학생 소년과 순수한 광주 시민을 우리나라 군대가 잔혹하게 학살했다는 이야기고, ‘작별하지 않는다 또한 제주 4·3 사건이 순수한 시민을 우리나라 경찰이 학살했다는 썰을 풀어낸 것이다”라고 비난했다.
김 작가가 쓴 ‘오쉿팔’은 5·18의 멸칭으로 보인다.
다만 김 작가는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역사적 왜곡인지에 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그는 또 ‘역사적 트라우마를 직시했다’는 한림원의 심사평을 거론하며 “한림원이 저런 식의 심사평을 내놓고 찬사했다는 건, 한국의 역사를 뭣도 모른다는 것이고, 그저 출판사 로비에 놀아났다는 의미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그렇게 또 수많은 깨시민 독자들은 자랑스러워하고, 거짓 역사는 진짜로 박제돼버리겠지”라고 했다.
김 작가가 거론한 두 작품은 스웨덴 한림원이 한강 작가를 수상자로 호명하며 언급한 7종의 주요 작품에 포함돼 있다.
앞서 한림원은 “역사적 트라우마를 직시하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강렬한 시적 산문을 선보였다”고 수상 이유를 밝힌 바 있다.
김 작가는 마지막으로 “많은 사람이, 우리나라 최초라며 축제를 벌일지 모르겠으나, 나는 다만 부끄럽다. 그리고 슬프다”면서 “그래도 10억 상금은 참 많이 부럽다”고 남겼다.
중국작가 옌롄커 ‘세계작가와의 대화’ - 중국작가 옌롄커가 12일 서울 중구 무교동의 한 식당에서 열린 세계작가와의 대화에서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9.11.12 뉴스1
김 작가는 노벨상이 중국 작가에게 돌아갔어야 했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올해 수상자와 옌렌커의 문학은 비교할 수조차 없을 만큼 무게와 질감에서, 그리고 품격과 감동에서 현격한 차이가 난다”며 “(노벨상이) 동양권에게 주어져야 했다면 중국의 옌렌커가 받았어야 했다”고 밝혔다.
김 작가는 “둘을 비교하고도 그녀를 선택한 거라면 한림원 심사위원들 모두 정치적이거나, 물질적이거나, 혹은 명단 늘어놓고 선풍기 돌렸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아님 여자라서?”라며 한강 작가의 성별이 수상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취지의 말도 덧붙였다.
김 작가의 비판은 이튿날에도 계속됐다.
그는 11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우파라는 분 중에서도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을) 축하하는 분들이 참 많으시다”라며 “배 아파서 이런 글 쓰는 게 아니고, 부러워서 안 축하하는 게 아니다”라며 의견을 굽히지 않았다.
김 작가는 “문단에서 내쳐지고 미움받기 싫다. 하지만 문학에 발을 들인 사람으로서 문학은 적어도 인간의 척추를 꼿꼿이 세워야 한다고 믿는 못난 글쟁이로서, 기뻐해야 하는 이유가 단지 한국인이기 때문이라면 그건 아닌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픽션이니까 역사 왜곡도 괜찮아, 한국이 탔으니까 좌우 불문 축하해야 하시는 분들은 문학의 힘, 소설의 힘을 모르셔서 하는 말”이라고 했다.
이어 “벌써 서점가 베스트셀러 상위에 온통 그 작가 책이란다. 지금까지도 많이 팔렸지만 앞으로도 엄청 팔릴 것”이라며 “그것이 곧 역사의 정설이 되겠지. 그것도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까지도”라고 했다.
소설가 한강 노벨 문학상 수상 관련 김규나 작가의 글. 2024.10.11 페이스북
이날 올린 또 다른 글에서는 “하루 종일 나갔다 와서 몰랐는데 페친님들, 블로그 이웃님들, 친구들이 여기저기에 내 비판 글 떴다고 알림. 한겨레, 일요시사, 이데일리, 아시아타임스, 톱스타스, 미디어스, 위키트리 등에서도 내 페이스북 글을 보도한 모양이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나 같은 사람의 비동의가 왜 뉴스가 돼야 하는지 모르겠다. 100프로 찬성, 100프로 박수 아니면 안 되는 건가. 덕분에 기사는 물론 스카이데일리 연재소설 아래 악플(악성 댓글)이 달리고, 블로그에 내 이름 검색해온 사람이 7000여명, 댓글란에도 조롱과 악플 일색”이라고 했다.
김 작가는 “탄핵 때부터 페북과 ‘소설 같은 세상’에 별별 이야길 다 해도 이런 적 없었는데”라며 “노벨상이 대단하긴 대단한가 보다”라고 덧붙였다.
12일에는 중국 작가 옌롄커를 언급한 이유에 대해 “작품마다 공산주의 사회의 모순을 얼마나 문학적으로, 얼마나 상징적으로 잘 담아냈는지 모른다. 더구나 정말 재미있다“고 설명했다.
김 작가는 2006년 단편소설 ‘내 남자의 꿈’이 부산일보 신춘문예에, 2007년 단편소설 ‘칼’이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등단했다. 2017년에는 첫 장편 소설 ‘트러스트미’를 출간했다.
현재는 조선일보에 ‘소설 같은 세상’이란 이름으로 글을 기고하고 있으며, 인터넷 매체 스카이데일리에 단편 소설도 연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