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말부터 DNA 대조작업 착수
6개월 뒤 최종 결과 나올 가능성
추가진상보고서엔 80구 유해 추정
“군사재판 아닌 일반재판 수형인 가능성 커”
제주4·3사건 희생자 중 시신을 찾지 못하여 묘가 없는 행방불명인을 대상으로 특별히 개인표석을 설치해 넋을 추모하는 공간인 행방불명인 표석. 제주 강동삼 기자
옛 광주교도소(광주형무소)에서 지난 2022년부터 2023년까지 발굴된 유해가 제주 4·3 당시 희생된 인물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8일 제주도에 따르면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견된 대규모 무연고 유해가 당초 예상과 달리 유전자 검사 결과 5·18 행방불명자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광주광역시로부터 무연고 유해 261구의 유전자 정보를 넘겨받아 서울대학교 법의학연구소에서 DNA 대조 작업에 들어갔다”면서 “4·3희생자 확률이 조금이라도 있어 지난 6월말부터 유족들로부터 받은 채혈과 비교하고 있다”고 전했다. 결과가 나오는데 늦어도 6개월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서 2019년 12월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 대한 정비 과정에서 261구의 무연고 유골이 발견됐다. 당시 광주는 5·18 민주화운동의 암매장지로 추정했다.옛 광주교도소는 1980년 5·18 당시 3공수여단과 20사단이 주둔했던 곳이기 때문이다. 교도소에서 시신을 암매장했다는 증언까지 나오면서 행불인 실체에 대한 기대가 컸다.
그러나 ‘SNP 분석’ 기법과 전통적 분석 기법인 ‘STR 분석’ 기법을 통해 유해와 5·18 행불인 유족을 대상으로 유전자 대조 작업을 벌였지만 일치된 DNA를 찾지 못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2017년 4·3 추가진상보고서에 따르면 광주형무소에 약 80여구의 유해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군사재판을 받은 수형인이 아닌 일반재판을 받은 수형인들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