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학생 문해력

[씨줄날줄] 학생 문해력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24-10-08 04:42
수정 2024-10-08 04: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의 읽기 영역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우수한 성과를 보인다. PISA는 전 세계 만 15세 학생(중3, 고1)을 대상으로 3년마다 수학, 읽기, 과학 영역의 학업성취 수준을 측정한다. 문해력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은 읽기다. 2022년 읽기 영역에서 한국 학생들 순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중 1~7위. 2018년에는 2~7위였다.

그런데 현장의 교사들은 이와는 다른 평가를 했다. 한국교총이 7일 한글날을 앞두고 전국 초중고 학생의 문해력 실태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조사했더니 5848명의 교원 중 92%가 학생 문해력이 과거에 비해 떨어졌다고 답했다.

조사에서 드러난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 수준은 심각했다. ‘족보’는 족발보쌈세트. 우측통행과 수저의 의미를 모르는 초등학생도 있었다. 중학생 중에는 ‘두발 자유화’의 두발을 두 다리로 이해하기도 했다. 중3년생이 나라의 대표 도시인 ‘수도’의 뜻을 몰랐다. ‘사건의 시발점’이라고 설명하는 교사가 욕설(시발)했다고 오해했고 ‘혈연’, ‘풍력’의 뜻을 모르는 고교생도 있었다.

PISA의 평가와 달리 우리 학생들이 글자는 읽어도 어떤 의미인지 모른다는 얘기이니 충격적이다. PISA는 만 15세 학생만의 문해력 측정인 반면 이번 조사는 초중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의 인식이기에 심각성은 더 크다.

교사들은 학생 문해력 저하의 원인으로 스마트폰, 게임 등 디지털 매체 과다 사용(36.5%)을 1순위로 꼽았다. 디지털 중독이 문해력 저하의 핵심 요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디지털 중독과 문해력 저하의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내년부터 초3·4, 중1, 고1은 수학, 영어, 정보 수업에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교과서도 함께 쓰게 된다. 학생 문해력이 개인화된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 교과서로 개선될지, 아니면 디지털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오히려 더 떨어질지 주목된다.
2024-10-08 3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