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신보험은 지고 보장성 뜨고… 손보 순익, 4년째 생보 앞질러

종신보험은 지고 보장성 뜨고… 손보 순익, 4년째 생보 앞질러

최재성 기자
최재성 기자
입력 2024-09-02 23:49
수정 2024-09-02 23: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상반기 보험사 실적 살펴보니

생보 9.4% 줄고 손보 12.2% 성장
삼성·메리츠·DB 손보 ‘1조 클럽’
불경기에 종신보험 등 해지 늘어
이미지 확대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의 실적 희비가 4년째 엇갈릴 전망이다. 2021년 처음으로 손보업계가 생보업계의 당기순이익을 앞선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같은 흐름을 이어 가고 있어서다. 인구 구조와 보험에 대한 인식 변화에서 비롯한 보험업계의 지각변동이 굳히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상반기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험사들의 당기순이익은 9조 366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36억원, 약 2.8% 증가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보험업계의 양대산맥인 생보업계와 손보업계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생보업계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3조 5941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3조 9682억원에 비해 9.4% 줄었다. 보험 분야에선 상품군 및 영업 확대 등으로 이익이 늘었지만 금융자산 평가이익이 감소했다.

반면 손보업계는 같은 기간 5조 772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같은 기간 5조 1445억원보다 12.2% 성장했다. 손보업계 역시 생보업계와 마찬가지로 투자 부문에서 1%대 손실을 기록했지만 보험 분야에서 16%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끌었다. 지난해 상반기 1조 1763억원이던 두 업계의 당기순이익 격차는 2조 1781억원까지 벌어졌다.

몇 년 전까지 보험업계에서 ‘형님(생보사)이 이끌고 아우(손보사)가 뒤에서 민다’는 말은 일종의 공식이다. 하지만 2021년 이후 보험업계에 지각변동이 생기기 시작했다. 업계는 인구 구조의 변화, 이로 인한 소비자들의 선호도 변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종신보험에 대한 수요가 줄고 해지하는 고객들이 늘어나는 반면 보장성보험을 찾는 수요가 늘면서 상대적으로 손보업계를 찾는 이들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생보업계의 주력 상품인 저축성보험 수입보험료는 2022년 45조 2626억원 수준에서 2023년 28조 514억원으로 규모가 대폭 쪼그라들었다. 올해 상반기 역시 15조원 수준에 머물러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생보업계도 수요 변화를 인지하고 보장성보험 상품 마련과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오랜 기간 보장성보험에 발을 담가 온 손보업계와의 격차가 현저하다. 업계 관계자는 “고객들의 수요 변화와 IFRS17 도입으로 생보업계 역시 보장성보험 역량 확대에 힘을 쏟고 있지만 오래전부터 보장성보험을 다뤄 온 손보업계와의 역량차가 분명 있다”고 했다.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지면서 연간 당기순이익 1조원을 넘는 ‘1조클럽’의 지형 변화도 본격화했다. 2021년까지 1조클럽에 이름을 올렸던 한화생명이 이후 실적 내림세를 겪으면서 생보업계에선 삼성생명만이 1조클럽의 명맥을 유지 중이다. 손보업계에선 삼성화재와 메리츠화재, DB손해보험 등 3곳이 연간 당기순이익 1조원을 넘겼다.

업계 관계자는 “불경기에 고금리 상황이 악화하면서 생보업계의 장기 상품 해지가 이어지고 있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24-09-03 1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해리스 vs 트럼프 승자는?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민주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공화당)은 지난 10일(현지시간) 105분가량 진행된 대선 후보 TV 생방송 토론에서 한 치의 양보도 없는 불꽃 튀는 대결을 했습니다. 양 측은 서로 자신이 토론에서 승리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토론에서 누가 우세했다고 생각하십니까.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