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급 감성이 주는 특급 웃음…극강의 도파민 중독 ‘이블데드’

B급 감성이 주는 특급 웃음…극강의 도파민 중독 ‘이블데드’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8-29 05:00
수정 2024-08-29 05: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좀비가 등장하는 ‘이블데드’ 공연 장면. 랑 제공
좀비가 등장하는 ‘이블데드’ 공연 장면. 랑 제공


“미쳤다. 미쳤어. 미쳤네”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나쁜 쪽이 아니라 좋은 쪽으로의 의미다. 작정하고 웃기겠다고 만든 흔적이 곳곳에 묻어나는 덕에 요즘 표현으로는 정말 ‘극강의 도파민 중독’이다.

6년 만에 돌아온 뮤지컬 ‘이블데드’가 B급 감성으로 특급 웃음을 안기며 대학로를 사로잡고 있다. 좀비가 등장하는 작품인데 이 정도면 좀비랑 같이 살아도 재밌지 않을까 싶을 정도다.

‘이블데드’는 샘 레이미 감독의 동명의 공포 영화 ‘이블데드’ 시리즈 중 1, 2편을 뮤지컬화한 작품이다. 여름방학을 맞아 숲속의 오두막으로 여행을 떠난 다섯 명의 대학생이 우연히 악령을 풀어주며 좀비와 마주하게 되는 이야기를 그렸다. 2008년 초연을 시작으로 이번이 다섯 번째 시즌이다.

설정만 보면 무시무시한 공포 뮤지컬 같지만 편견은 금방 깨진다. ‘B급 코미디 좀비 뮤지컬’답게 초반만 잠시 무서운 척할 뿐 웃기느라 정신없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다섯 친구가 금서를 꺼내 읽으면서 좀비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랑 제공
다섯 친구가 금서를 꺼내 읽으면서 좀비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랑 제공


주인공 애쉬의 괴짜 여동생인 셰럴이 잠시 외출했다가 살아 움직이는 나무를 만나면서 작품은 본격적인 공포물로 바뀐다. 이후 셰럴이 좀비가 되는 것을 시작으로 인물들이 서서히 좀비가 된다.

좀비물 서사가 대개 그러하듯 ‘이블데드’ 역시 살아남은 주인공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흐름은 비슷하다. 그러나 이런 흐름의 좀비물들이 주인공을 영웅화해 세상을 구하는 것으로 묘사하는 것과 달리 S마트의 직원인 애쉬는 그리 영웅적이지 않다. 오히려 그 평범함이 작품의 유머코드를 제대로 살린다.

좀비들 역시 공포감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적이다. 지하에 갇혀 지상으로는 나올 수 없는 셰럴 좀비의 예를 들면 키가 짧아 공격 반경이 짧은데 치명적으로 귀엽다. 좀비들이 K팝 아이돌 무대 안 부러울 정도로 화려한 군무를 선보이는 대목이나 잘린 손가락, 잘린 목이 무섭지 않고 오히려 웃기게 다가오는 장면은 이 작품이 어떤 감성을 지닌 공포물인지를 잘 보여준다.

작품은 애초에 좀비를 등장시켜 세상을 위기에 빠뜨리려는 생각이 전혀 없다. 좀비로 어떻게 웃길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가득하다. “이 맛이 청정라거다”, “나는 겁쟁이랍니다” 같은 패러디 대사 역시 작품의 관전 요소 중 하나다. 특히 배우들이 관객들을 향해 피를 쏘는 순간은 공포의 유머화가 무엇인지를 제대로 드러낸다. ‘이블데드’는 배우와 관객이 함께 즐긴다는 것이 무엇인지 보여주며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관객들을 신나게 한다.

이미지 확대
‘이블데드’에서는 나무들도 살아 움직이며 작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랑 제공
‘이블데드’에서는 나무들도 살아 움직이며 작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랑 제공


오두막을 형상화한 무대와 화려한 조명, 통통 튀는 의상, 코미디와 호러의 신박한 조화를 살린 안무 등 연출진의 역량 또한 빛나는 작품이다. 오루피나 연출이 “시대에 따라 유머의 포인트도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뒤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고민을 많이 했다”고 말한 대로 작품의 유머코드가 동시대의 감성을 잘 담아낸 덕에 관객들은 고민하지 않고 마음껏 즐길 수 있다.

애쉬의 친구 스캇으로 출연하는 2AM의 멤버 조권이 “자꾸만 보실 거라면 블러드밤석에도 착석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린다”고 한 것처럼 우비를 뒤집어써야 하는 블러드밤석에 앉아보는 것도 작품을 색다르게 즐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다.

9월 1일이 마지막 공연이다. 서울 종로구 인터파크 유니플렉스에서.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