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34명, 美 22명… 일본인도 2명
해방 이후에도 경제원조 등 도와
18일 국가보훈부에 따르면 외국 국적으로 독립운동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포상을 받은 사람은 모두 95명이다. 이 가운데 한국인 후손 19명(중국 7명, 러시아 11명, 멕시코 1명)을 뺀 ‘순수’ 외국인은 8개국 76명이다. 중국이 34명으로 가장 많고 미국이 22명으로 뒤를 이었다. 영국과 캐나다가 각각 6명이었고 호주 3명, 아일랜드 2명, 프랑스 1명 등이다. 일본인도 2명 포함돼 있다.
외국인 독립유공자에 대한 포상은 1950년(12명)과 1968년(23명), 2015년(10명)에 가장 많았다. 1950년대엔 이승만 전 대통령과 인연이 있는 미국인들이 주로 서훈을 받았으며 그 뒤 다양한 국가와 배경을 가진 이들로 확대됐다.
외국인 독립운동가들은 해방 이후에도 꾸준히 관계를 맺으며 도움을 준 사례가 적지 않다. 한미협회에서 활동했던 존 W 스태거스 변호사나 폴 프레더릭 더글러스 총장, 프레더릭 브라운 해리스 목사는 한미 간 가교 역할을 했다. 특히 해리스 목사는 미국이 한국에 경제원조를 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 선교사 조지 피치 부부는 대한적십자사 설립 준비를 도왔고, 프랭크 스코필드는 서울대 수의과대학 교수로 일하며 이승만·박정희 정부의 독재와 부정부패를 비판하고 민주화에도 이바지했다.
독립운동사 연구자들은 예산과 인력 부족으로 자료 발굴과 정리 등에 개선해야 할 부분이 적지 않다고 지적한다. 보훈부가 운영하는 ‘독립운동자 공적정보’는 현재까지 다이리(戴笠), 뤼톈민(呂天民), 왕주이(汪竹一), 리수전(李淑珍), 허상치(何尙祺) 등 중국인 5명과 모리스 윌리엄, 제이 제롬 윌리엄스, 스태거스, 스티븐 A 벡 등 미국인 4명의 생사를 알 수 없다고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신문이 독립운동 관련 자료를 확인한 결과 다이리는 1946년, 뤼톈민 1942년, 윌리엄 1973년, 윌리엄스 1961년, 벡은 1941년 사망한 기록을 찾을 수 있었다.
2024-07-19 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