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안 낳으면 이기적인가… ‘엄마’ 되길 거부한 여성들

아이 안 낳으면 이기적인가… ‘엄마’ 되길 거부한 여성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4-06-14 00:07
업데이트 2024-06-14 07: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엄마 아닌 여자들/페기 오도널 헤핑턴 지음/이나경 옮김/북다/336쪽/1만 8900원

현대 여성에 집요해진 ‘출산’ 강요
개인의 선택 아닌 사회의 문제 지적


이미지 확대
엄마는 위대하지만 모든 여성이 엄마가 되거나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모성의 강조는 여성에게 의무적으로 엄마가 돼야 한다는 압박으로 작용한다. 아이 없는 삶을 선택하거나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여성은 의무를 다하지 못한 낙오자, 비정상 취급을 받는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국의 저출생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왜 아이를 낳지 않느냐’는 물음은 더 날카롭고 집요해졌다. 자녀보다 자기 커리어를 중요시하며 경제적인 풍족함과 여유로운 일상을 원하는 현대 여성들의 이기적인 선택으로 몰아가는 것은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들 뿐이다.

미국 시카고대 역사학과 교수로 여성운동과 인권 등을 가르치는 저자는 “여성이 자녀를 가진 세월만큼, 오랫동안 여성이 자녀를 갖지 않았음”을 제시한다. 제인 오스틴, 에밀리 디킨슨, 버지니아 울프 등 19~20세기 초 여성 작가들이 피임약과 기술이 등장하기 전부터 적극적인 방식으로 임신을 피했던 사례 등을 통해 역사에 늘 존재했던 ‘자녀 없는 삶’의 의미를 짚는다.

저자는 자녀의 출산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수많은 외부 조건, 사회문제들과 긴밀히 연결돼 있다고 지적한다. 여성의 이야기가 아닌 모두의 이야기로, ‘왜 아이를 낳지 않을까’라는 물음에서 ‘어떤 삶을 선택할 것이냐’에 대한 물음으로 확장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기후변화가 다음 세대에 미칠 악영향 때문에 아이를 갖지 않기로 선택한 여성, 어떤 이유에서든 아이를 가지는 것이 불가능해 자녀가 없는 여성,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기 위해 자녀를 갖지 않은 ‘자발적 무자녀’ 등 이유는 다양하다. 하지만 이들에겐 공통점이 있다. 결혼과 자녀, 가족에 대해 전통적으로 사회가 기대해 온 것과 다른 삶을 원했다는 것이다.

책에 따르면 역사의 대부분 시간 동안 여성은 자녀를 가질 것인지, 가지지 않을 것인지 선택해 왔다. 하지만 현실은 “자녀 가진 여성을 어머니라고 부르는 반면 자녀 없는 여성을 비하하지 않고 일컫는 말은 ‘자녀 없는 여성’뿐”이다. 저자는 자녀 없는 삶을 선택한 여성들에 대한 적절한 용어의 필요성과 아울러 여성의 선택지가 모성과 가족을 넘어 공동체 연대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순녀 선임기자
2024-06-14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