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뉴스 댓글 누가 쓸까…10명 중 6명이 ‘중년 남성’

네이버 뉴스 댓글 누가 쓸까…10명 중 6명이 ‘중년 남성’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4-06-04 14:05
업데이트 2024-06-04 14: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인당 평균 하루 2.2~2.5개 댓글

이미지 확대
키보드 자료사진. 펙셀스
키보드 자료사진. 펙셀스
네이버 뉴스에 댓글을 다는 이용자 상당수는 40~60대 중년 남성이었다.

네이버 데이터랩에 따르면 네이버 뉴스에 댓글을 다는 이용자는 지난달 기준 매일 8만~12만명 사이로 집계됐다. 네이버의 월간활성이용자(MAU)가 4000만명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네이버 이용자 중 일부만 댓글을 다는 셈이다.

하루 평균 작성된 댓글 수는 최소 18만 5000개에서 최대 32만 2000개로 댓글 작성자가 1인당 평균 하루 2.2~2.5개의 댓글을 달았고, 작성 댓글 중 7.5~8.8%의 댓글은 작성자 스스로 삭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 댓글 작성자는 중년층에 몰려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0명 중 8명은 40~60대로 이 중 남성은 6명, 여성은 2명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댓글 작성자 중 50대 남성 비율은 25% 안팎으로 1위를 기록했으며, 이어 40대 남성(20.8~22.4%), 60대 남성(17%) 순이었다.

댓글 작성자 10명 중 6명 이상은 40~60대의 중년 남성이었다. 댓글 작성자 중 40~60대 남성 비율은 동년배 여성들에 비해서도 3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비율은 20% 안팎으로 집계됐다.
이미지 확대
2024년 5월 31일 네이버 뉴스 댓글 작성자 연령별·성별 분포. 자료=네이버 테이터랩
2024년 5월 31일 네이버 뉴스 댓글 작성자 연령별·성별 분포. 자료=네이버 테이터랩
남녀를 통틀어 40~60대의 댓글 작성 비율은 전체 작성자의 80% 안팎일 정도로 중년층에 몰려있는 것이다. 70대 이상의 이용자의 댓글 작성 비중은 도합 4% 안팎(남성 3% 안팎, 여성 1% 안팎)으로, 이들까지 더할 경우 댓글 작성자의 85% 가까이가 40대 이상이었다.

인터넷 이용이 상대적으로 더 활발한 30대 이하의 댓글 작성 비율은 낮았다. 30대 남성의 경우만 10% 안팎으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기록했지만 나머지 연령대의 비율은 중년 사용자에 비해 매우 낮았다. 30대 여성 비율은 2.5% 안팎에 불과했다. 특히 10~20대 이용자의 댓글 작성 비율은 매우 낮았다. 20대 남성의 경우 2% 안팎, 20대 여성의 경우 0.5% 안팎에 그쳤다. 10대의 경우 남녀 합쳐 0.1% 수준이었다.

이 같은 10~30대의 낮은 댓글 작성 비율은 유튜브 등 영상 위주인 이들의 콘텐츠 소비 방식을 반영한다는 분석이다. 뉴스 서비스가 이용자 유인과 체류시간 면에서 중요한 서비스인 만큼 네이버는 10~30대 이용자가 선호하는 숏폼과 스트리밍 등 다양한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김유민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