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해로외전
박민정 지음
문학동네/316쪽/1만 6500원
박민정 6년 만의 두 번째 장편작가이자 교수인 주인공 통해
국제결혼·다문화·해외 입양 등
한국 사회와 정체성 문제 언급
교수 사회 또는 문단 알력 은유
‘미스 플라이트’ 이후 6년 만에 두 번째 장편 ‘백년해로외전’으로 돌아온 소설가 박민정은 작품에서 국제결혼과 다문화가정 등을 통해 한국 사회와 정체성 문제를 예리하게 짚고 있다.
ⓒ김봉곤·문학동네 제공
ⓒ김봉곤·문학동네 제공
소설가 박민정(39)이 2018년 ‘미스 플라이트’ 이후 6년 만에 선보이는 두 번째 장편 ‘백년해로외전’은 단단한 문체와 중층적인 서사로 ‘우리’라는 말을 감싸고 있는 헛된 환상을 걷어 낸다.
작가이자 어느 대학의 초임 교수인 주인공의 시선으로 이야기는 크게 두 공간에서 진행된다. 하나는 현재의 나를 위태롭게 하는 대학교이고, 다른 하나는 그가 자란 후암동 적산가옥 고택이다. 후암동 고택은 “여름이면 능소화가 담벼락에 너울대는” 곳이지만 그다지 아름답진 않다. 재혼을 위해서 아들 하나만 남기고 두 딸을 해외로 입양 보낸 큰아버지, 미혼모였던 작은고모와 그 딸을 원색적으로 비난했던 할머니. 후암동은 안락한 유년의 뜰이 아니다. 그들만의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 것을 마구 잘라내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와도 같은 곳이다.
“김 박사한테 물어봤더니 자전거 타다가도 터질 수 있는 거래, 처녀막은. 그래도 벌써 이렇게 되면 어떡해, 어쩜 좋아. 정 그러면 나중에 장가올 놈한테 사정 설명하면 되겠지 뭐”(52~53쪽)
소설 속 할머니의 대사는 지금 읽으면 끔찍하기 짝이 없는 언설이다. ‘처녀성’이라는 그릇된 신화를 신봉했던 전근대의 공간을 해체하는 것은 동질성 바깥에 있는 존재들이다. 폴리네시아에서 한국으로 와 큰아버지의 아들인 ‘장훈’과 가정을 꾸린 ‘바닷마을 언니’, 그 언니를 빼닮은 그녀의 딸 ‘수아’ 그리고 프랑스 가정으로 입양 보내졌던 큰아버지의 두 딸 중 하나인 ‘장선’이 그렇다. 주인공들이 이 인물들과 마주하는 장면을 통해 작가는 국제결혼, 다문화가정, 해외 입양과 같은 단어들이 동시에 품고 있는 한국 사회와 정체성의 문제를 예리하게 건드린다.
소설가 최진영은 추천사에 “서로 막말과 저주를 일삼더라도 피붙이니까 화목하게 지내야만 한다는 기괴한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와 백인 남성 또는 한국인 중심이라는 울타리를 벗어나면 만날 수 있는 질문이 이 소설에 가득하다”고 썼다. 문학평론가 홍성희도 “다른 장소, 다른 이름, 다른 얼굴과 표정으로 유리병의 뚜껑을 여는 기묘한 이야기들의 도시”라고 평했다.
박민정은 소설을 쓰면서 이렇게 생각했다고 작가의 말에 적었다. “나만 있어서는 도저히 불가능한 것들, 내가 사랑하고 허용할 수 있는 사람들만 곁에 둘 수 없다는 분명한 사실들, 안전한 무균의 공간에만 머무를 수 없다는 사실을 거듭 깨달았다.”(314쪽)
2024-05-3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