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결혼식” 돌잔치 유행…가족도, 손님도 ‘부담백배’

“제2의 결혼식” 돌잔치 유행…가족도, 손님도 ‘부담백배’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4-05-29 15:46
업데이트 2024-05-29 15: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휴에 돌잔치라니” “결혼식도 벅차”
행사 쏟아져 경제적·시간적 부담 호소

이미지 확대
위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돌잔치 자료사진. 연합뉴스
위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돌잔치 자료사진. 연합뉴스
“본인 아기 돌잡이에 쓸 돈은 부모들이 미리 준비하면 좋겠습니다. 축하해주러 가는 손님 입장에서 너무 불편하네요.”

최근 지인의 자녀 돌잔치에 다녀왔다는 A씨는 ‘돌잔치 좀 불편하네요’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나는 아직 아기가 없는데 아기를 낳는다 해도 돌잔치는 직계가족끼리 밥 먹는 정도로 할 생각이다. 하지만 돌잔치를 한다는 사람들도 존중한다. 자기 마음이니까”라고 운을 뗐다.

이어 “얼마 전 지인 아기 돌잔치를 한다고 했는데 친분이 좀 있는 지인이라 축하해주러 갔다. 가서 인사하면서 축하금 내고 밥 먹고 있으니 돌잔치가 시작됐다”고 상황을 전했다.

그는 “돌잡이 순서에서 사회자가 돌잡이 용품 소개하더니 제일 중요한 ‘돈’이 있어야 하는데, 없다며 아기엄마, 아빠에게 능청스레 물었다. 그랬더니 아기 아빠가 손님들에게 달라는 제스처를 취하더라”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기 아빠가 돌잡이 쟁반을 들고 앞으로 나왔다. 사람들은 ‘이미 들어올 때 축하금을 냈는데 또 내야하나?’하는 분위기였고 아기 부모들도 자기들끼리 뻘쭘한 눈빛을 교환하더라”라고 덧붙였다.

A씨는 “결국 사람들이 안 나오니 아기 할머니, 할아버지가 냈다. 그런데 본인 아기 돌잡이에 쓸 돈은 부모들이 미리 준비하면 좋겠다. 축하해주러 가는 손님 입장에서 너무 불편하다. 다른 분들도 이런 경험 있냐”며 의견을 물었다.

네티즌들은 “보통 가족들이 내지 않나. 남에게 이중으로 돈 뜯는 건 아니라고 본다” “사회자 관례라고 들었다. 보통 조부모가 내더라” “돈 쟁반 들고 다니는 거 진짜 보기 싫다” 등의 댓글을 달며 공감했다.
이미지 확대
돌잔치 이미지. 픽사베이
돌잔치 이미지. 픽사베이
다시 뜨는 돌잔치에 돌반지·참석 부담
코로나19 이후 가족 행사로 전환됐던 돌잔치는 다시금 지인들을 초대하는 문화로 바뀌는 추세다. 젊은 부부들은 아이의 첫 생일파티를 성대하게 열기 위해 인기 호텔과 돌잔치 업체 정보를 교환하고 있는데 이들 사이에서는 ‘제2의 결혼식’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금값 상승에 돌반지 부담도 커졌다. 한국금거래소 기준으로 순금 돌반지(한돈·3.75g)는 47만 4000원, 순금 골드바(반돈·1.875g)는 25만 4000원이다. 용, 별, 하트, 왕관, 곰돌이 등 다양한 모양의 돌반지는 한돈에 50만원이 넘는다. 이 때문에 금반지보다 현금이나 육아용품 선물로 대체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네티즌들은 “돌잔치는 가족끼리 하는 것이 맞는 것 같다. SNS에 올리기 위한 허례허식은 과감하게 없어질 필요가 있다” “밀려드는 행사에 금전적·시간적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돌잔치 정도는 직계가족끼리 조용히 치렀으면 좋겠다”라며 입을 모았다.
김유민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