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사 63.6%, “최근 1년간 이직·사직 고민”···교권 침해 경험 57.8%

경기교사 63.6%, “최근 1년간 이직·사직 고민”···교권 침해 경험 57.8%

안승순 기자
입력 2024-05-10 12:08
업데이트 2024-05-10 1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도교사노조, 조합원 4203명 대상 설문조사

‘교사 직업, 사회에서 존중받지 못했다’ 77.7%
이미지 확대
경기도교사노동조합이 9일 발표한 ‘경기도 교원 인식 설문 조사 결과’ 자료. (경기도교사노동조합 제공)
경기도교사노동조합이 9일 발표한 ‘경기도 교원 인식 설문 조사 결과’ 자료. (경기도교사노동조합 제공)
정부 차원의 교권 보호를 위한 대책이 잇따라 나왔지만, 스승의 날을 앞둔 교사들의 사기는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경기교사노조가 스승의 날을 맞아 조합원 42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63.6%가 ‘최근 1년간 이직 또는 사직(의원면직)에 대해 고민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교사라는 직업이 사회에서 존중받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77.7%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그렇다’는 4.7%에 그쳤다.

설문조사 응답자 중 57.8%는 ‘최근 1년간 학생에게 교권 침해를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53.9%는 ‘최근 1년간 학생의 보호자에게 교권 침해를 당한 적이 있다’고 했다. 최근 1년간 ‘정서적 아동학대 고소를 걱정해 본 적이 있다’고 답한 교원도 82.6%에 이르렀다.

현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해 학점(A∼F학점)을 주는 방식으로 진행된 조사에서 ‘방과 후와 돌봄을 통합한 늘봄학교 전국 도입’과 ‘교육·보육체제 구축을 위한 유보통합 추진’은 각각 ‘F’학점을 받았다.

경기교사노조 송수연 위원장은 “설문조사 결과 경기도 교원들이 교육활동을 함에 있어 안정성이 담보되지 못한 상황에 얼마나 불안함을 느끼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이를 위해 정치 기본권 회복이 우선이며 교사가 교육전문가로서 교육정책과 입법에 참여해 교육을 질을 담보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안승순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