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3개월여간 이례적 급등세
강달러 기조에 중동 악재 겹쳐
고환율 국내 물가 자극 우려도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9일 원달러 환율은 1382.2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말 종가(1288.0원)에서 7.3% 올랐다. 연초 3개월여간 7%를 뛰어넘는 급등세는 이례적이다. 국내 외환위기 사태가 불거진 1996년 말~1997년 4월 같은 기간 원달러 환율은 5.9% 상승했다. 그러다 그해 11월 국제통화기금(IMF)에 자금 지원을 요청하면서 연말 기준 환율은 1년 새 200.6% 치솟았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2008년 같은 기간 원달러 환율은 6.9% 상승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지나던 2008
~2009년 같은 기간에는 7.1% 급등한 바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시발점인 2008년 9월 15일 미국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의 파산 직후 환율이 급등하며 그해 최고점(11월 24일 1513.0원)까지 두 달여 만에 36.4% 상승하기도 했지만, 이 같은 단기간 급등 사태를 제외하면 외환위기 사태 이후 최대 상승폭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의 이유는 달러의 통화 가치가 크게 오른 데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대립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겹쳤기 때문이다. 중동 위기가 전면전으로 번지지 않는다면 1400원 선을 뚫기는 쉽지 않으리란 전망이다. 또 1400원대로 오른다고 해도 신인도가 떨어지는 등 과거와 같은 위기로 확산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최진호 우리은행 애널리스트는 “환율 상승은 선진국의 통화정책 이원화로 생긴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면서 “과거와 달리 한국의 신인도가 높아졌고, 수출 채산성도 높아져 긍정과 부정적 효과가 모두 있다”고 말했다. 다만 고환율이 수입품의 물가를 끌어올려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하다. 문정희 국민은행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수입 물가가 뛰면 실질소득이 준다”면서 “환율 1400원대가 지속되면 내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경제가 악화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2024-04-2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