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에 난데없는 대자보가 붙을 정도로 이 영화가 2030세대의 분노를 유발했다는 것은 인정하자. 문제는 이 영화가 사실과 허구를 교묘히 버무려 엮어 낸 창조물이라는 것이다. ‘12·12 군사 쿠데타’를 처음으로 영화화했다는 슬로건을 달고 개봉했지만, 영화 속 내용은 상당 부분이 왜곡이다. 이름도 모두 가명이다. 신군부 리더는 ‘전두광’(황정민 분), 신군부에 맞서는 수도경비사령관은 ‘이태신’(정우성 분)이다. 전두광과 이태신은 바로 전두환과 장태완이다. 두 사람은 영화에서 ‘악인’과 ‘정의의 사도’로 극명하게 대비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태신이 전두광과 대치하며 포격을 지시하는 장면 등은 완전한 허구다.
그런데도 이 영화는 황정민과 정우성 등의 연기력과 완성도가 입소문을 타면서 빠르게 흥행가도를 달렸다. 입소문은 밈(온라인 유행 콘텐츠)으로 번졌다. 영화가 끝난 직후 치솟은 심박수를 소셜미디어(SNS)에 올리는 심박수 챌린지는 2030의 문화로 자리잡았다. 황정민이 납치돼 고통받는 영화인 ‘인질’을 되돌려 보는 사람들도 늘었다. ‘서울의 봄’ 포스터 속 전두광 얼굴에 구멍을 낸 사진은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다.
24일 ‘서울의 봄’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세 번째로 1000만 관객 타이틀을 획득했다. 죽어 가는 극장가를 심폐소생시켰다는 평가도 나온다. 2030세대가 한국 근현대사에 관심을 갖게 된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12·12 사태 44년째인 지난 12일 광주와 전남, 경남 김해 등에선 신군부 세력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정선엽 병장과 김오랑 중령의 추모 행사가 열렸는데, 올해 참여 인원이 대폭 늘었다. 그러나 영화는 영화일 뿐이다. 역사를 바로 보는 계기가 되길 바랄 뿐이다.
2023-12-2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