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기증받은 17세기 고미술품 분실
관장 교체·직원 징계…경찰 미제사건 등록
고려대 박물관에서 17세기 고미술품이 사라져 경찰이 수사에 나섰으나 현재까지 이렇다 할 단서를 찾지 못하고 있다.
27일 서울 성북경찰서에 따르면 고려대 박물관은 조선 중기의 문인 화가 창강 조속(1595∼1668)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가마우지 그림을 분실했다.
조속은 글씨와 그림에 두루 능한 ‘시서화 삼절’로 평가받았다. 그의 작품 일부는 국보·보물급으로 평가받아 국립중앙박물관 간송박물관 등도 소장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보도에 의하면 고려대 박물관은 2021년 8월 고령 박씨의 한 후손에게서 17세기~20세기 초 유물 다수를 기증받았다.
이후 학교 측은 160여점을 인수했다는 기증물품 목록을 내부적으로 작성했는데 조속의 가마우지 그림 등 값나가는 물건은 빠져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물관은 또 2년여만인 지난 3월 기증자에게 영수증과 기부증서를 보냈는데, 웬일인지 당연히 첨부해야 하는 기증물품 목록은 뺐다.
이를 의아하게 여긴 기증자는 지난 5월 개인적으로 목록을 입수했는데, 여기에도 역시 조속의 그림 등은 아예 누락돼 있었다.
고려대 박물관이 정식으로 기증자에게 목록을 발송한 것은 6월 중순이었다.
고려대 측은 2년이 다 되어 가도록 기증물품 목록을 주지 않은 점에 대해 “감정에 시간이 오래 걸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조속의 그림이 빠진 부분에 대해서는 “잃어버렸기 때문에 넣을 수가 없었을 뿐”이라고 했다.
한국경제신문이 만난 기증자 측은 조속의 작품을 소중하게 생각하여 다른 물품과 달리 따로 통에 담아 미리 넘겨주었고, 당시 현장에서 박물관장, 학예사들과 해당 작품에 관한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다. 또 학예사 중 한 명은 조속의 가마우지 그림을 알아보고 “이 정도면 관리 잘 한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설명했다.
고려대 박물관은 지난해 12월 기증품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조속의 가마우지 그림 분실 사실을 인지했다고 한다. 박물관은 2만점에 달하는 소장품을 모두 수색했으나 기증품을 찾지 못했고 올해 6월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박물관 직원 등 관계자들을 조사했지만 도난 혐의점을 찾지 못하고 관리 미제사건으로 등록했다. 관리 미제사건이란 경찰이 피의자를 특정할 단서를 확보하지 못해 추가 단서가 확보될 때까지 수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관리하는 사건을 의미한다.
경찰 관계자는 “분실 추정 시점으로부터 이미 시간이 많이 흐른 상황에서 신고가 접수됐다”며 “증거가 많이 훼손돼 현장 감식과 폐쇄회로(CC)TV 영상 확보 등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고려대 관계자는 “관리 소홀의 책임을 통감한다”며 “분실 사실을 인지했을 때가 총장 교체 시점과 맞물려 신고가 늦어졌다”고 해명했다.
이 일로 고려대는 박물관장을 교체하고 박물관 직원 1명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했다. 또 다른 박물관 직원 1명도 기증품 분실에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관장 교체·직원 징계…경찰 미제사건 등록
고려대학교 박물관. 고려대 자료사진
27일 서울 성북경찰서에 따르면 고려대 박물관은 조선 중기의 문인 화가 창강 조속(1595∼1668)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가마우지 그림을 분실했다.
조속은 글씨와 그림에 두루 능한 ‘시서화 삼절’로 평가받았다. 그의 작품 일부는 국보·보물급으로 평가받아 국립중앙박물관 간송박물관 등도 소장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보도에 의하면 고려대 박물관은 2021년 8월 고령 박씨의 한 후손에게서 17세기~20세기 초 유물 다수를 기증받았다.
이후 학교 측은 160여점을 인수했다는 기증물품 목록을 내부적으로 작성했는데 조속의 가마우지 그림 등 값나가는 물건은 빠져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물관은 또 2년여만인 지난 3월 기증자에게 영수증과 기부증서를 보냈는데, 웬일인지 당연히 첨부해야 하는 기증물품 목록은 뺐다.
이를 의아하게 여긴 기증자는 지난 5월 개인적으로 목록을 입수했는데, 여기에도 역시 조속의 그림 등은 아예 누락돼 있었다.
고려대 박물관이 정식으로 기증자에게 목록을 발송한 것은 6월 중순이었다.
고려대 측은 2년이 다 되어 가도록 기증물품 목록을 주지 않은 점에 대해 “감정에 시간이 오래 걸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조속의 그림이 빠진 부분에 대해서는 “잃어버렸기 때문에 넣을 수가 없었을 뿐”이라고 했다.
한국경제신문이 만난 기증자 측은 조속의 작품을 소중하게 생각하여 다른 물품과 달리 따로 통에 담아 미리 넘겨주었고, 당시 현장에서 박물관장, 학예사들과 해당 작품에 관한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다. 또 학예사 중 한 명은 조속의 가마우지 그림을 알아보고 “이 정도면 관리 잘 한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설명했다.
고려대 박물관은 지난해 12월 기증품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조속의 가마우지 그림 분실 사실을 인지했다고 한다. 박물관은 2만점에 달하는 소장품을 모두 수색했으나 기증품을 찾지 못했고 올해 6월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박물관 직원 등 관계자들을 조사했지만 도난 혐의점을 찾지 못하고 관리 미제사건으로 등록했다. 관리 미제사건이란 경찰이 피의자를 특정할 단서를 확보하지 못해 추가 단서가 확보될 때까지 수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관리하는 사건을 의미한다.
경찰 관계자는 “분실 추정 시점으로부터 이미 시간이 많이 흐른 상황에서 신고가 접수됐다”며 “증거가 많이 훼손돼 현장 감식과 폐쇄회로(CC)TV 영상 확보 등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고려대 관계자는 “관리 소홀의 책임을 통감한다”며 “분실 사실을 인지했을 때가 총장 교체 시점과 맞물려 신고가 늦어졌다”고 해명했다.
이 일로 고려대는 박물관장을 교체하고 박물관 직원 1명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했다. 또 다른 박물관 직원 1명도 기증품 분실에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