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중심가의 모습. 서울신문 DB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4일 “과거에는 글로벌 기업들이 국제적 상업 중심지인 홍콩과 중국 본토 간 관계를 ‘자산’으로 여겼지만 이제는 ‘장애’로 본다”며 “이에 따라 기업들의 철수 속도도 가팔라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과거에는 홍콩에서 사업하는 데 위험이 없었지만, 지금은 모든 것에 물음표가 붙을 정도로 불확실해졌다는 것이다.
홍콩은 1997년 영국의 반환 이후 중국과 분리된 법률 시스템과 사법부, 서구식 자유 보장 등으로 외국 기업에 매력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홍콩의 더욱 엄격한 국가 안보 규제와 중국의 외국기업 단속, 본토 경제 둔화, 미중 긴장 고조 등이 겹쳐 외국기업들의 이탈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미국 기업 수는 4년 연속 감소해 지난해 6월에는 1258개를 기록했다. 2004년 이후 가장 적다. 반면 지난해 홍콩에 지역 본부를 둔 중국 본토 기업 수는 미국 기업 수를 앞질렀다. 이제 홍콩은 중국의 연장선으로 비칠 정도로 홍콩과 중국 본토 간 경계가 모호해졌다고 WSJ은 설명했다.
많은 다국적 기업들은 홍콩을 떠나 중국 본토로 직접 진출하거나 홍콩의 경쟁자인 싱가포르에 아시아 허브를 세우고 있다. 중국 주요 기업 다수가 상장된 홍콩 증시에서도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거 빠져나가고 있다. 홍콩 항셍지수는 올해 들어 전날까지 13% 이상 하락했는데, 이는 미국과 일본 등 장세와 대조적이다.
금융정보 제공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지난해 홍콩의 기업공개(IPO) 규모는 134억 달러(18조원)로 2021년에 비해 3분의 2 이상 감소했다. 올해는 규모가 더 적어 지난 18일까지 35억 달러(4조7천억원)에 그쳤다.
홍콩의 부동산 시장도 침체에 빠졌다. 미국 기업들로서는 중국 당국의 단속이 강해지는 상황에서 직원들을 홍콩에 배치하는 것도 더 힘들어졌다. 중국이 과거처럼 고성장을 구가하기 힘들 것으로 비치는 것도 홍콩 시장 약세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홍콩은 낮은 세금과 잘 발달한 금융시장,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 등 여전히 매력이 많다는 반론도 있다. 중국과 중동의 관계 확대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홍콩 당국도 중동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자 노력하고 있다. 중동 최대 상공회의소인 두바이상공회의소는 올해 홍콩에 사무소를 개설하면서 중동과 중국 시장 간 협력 촉진을 위한 활동에 들어갔다.
홍콩 정부 대변인은 “홍콩이 일국양제(한 국가 두 체제) 원칙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며 “홍콩은 글로벌 장점과 중국의 장점이 단일 도시로 수렴되는 세계 유일의 장소”라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