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정부 자유주의 성공하려면
좌우 극단 아닌 공론장 살려야
이념 편가르는 얕은 정치 접고
지적 담론의 보수 품위 보여라
황수정 수석논설위원
씨름판에도 체급이 있다. 140㎏의 백두급이 80㎏의 태백급을 들배지기로 날린들 아무 감동이 없다. 이겨도 우습고 되치기라도 당하면 남세스럽다.
한 번 더 놀란 것은 그날 발언의 자리다. ‘문화자유행동’이라는 단체의 출범식장이었다. 주류에서 밀려난 보수 문화예술인들의 권익을 대변하겠다는 단체다. 복거일 작가 말고는 알아볼 만한 얼굴이 없었다. 진보 진영에서 ‘전향’한 이력이 주요 자산일 뿐인 문화평론가 대표가 문화계 이권 카르텔을 무슨 수로 감시하나. 문화계 보수의 초라한 저변을 탈탈 털어 재확인시켰다. 문화계 블랙리스트가 재현되나, 난데없는 억측만 키웠고.
양쪽 진영의 극단적 지지자들이 ‘개념 연예인’ 악플 대리전을 이어 가는 중이다. 중도층과 무당층, 분별 있는 보수는 이런 싸움에 고개를 돌린다. 지난 정권 내내 편가르기를 유발한 정치 언술과 정책에 이골이 났어도 그렇다. 안 그래도 지금은 윤석열 대통령이 ‘이념 전쟁’의 주체가 되어 맨 앞줄에 서 있다. “공산전체주의”, “반국가세력” 같은 대통령의 강성 언어들은 편하게 들리지 않는다. 이념정치의 소모전을 의심하는 시선이 많아진다.
기울어진 이념의 균형을 바로잡겠다는 것이 윤 대통령발 이념전의 핵심이다. 그런데 계산을 잘못하는 부분이 있다. 완고해진 이념의 불균형은 한쪽을 누르거나 한쪽을 억지로 일으킨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나는 보수”라 당당히 말하지 못하는 물밑의 보수를 떳떳이 수면 위로 올라오게 토양을 만들어 주는 것. 그게 급선무다. 주눅든 보수가 커밍아웃하고 넓어지는 보수의 지평으로 중도가 발을 옮기게 해야 한다. 안 보는 것 같아도 사람들은 다 보고 있다. 좌파가 주류인 문화계의 균형을 잡자고 실체와 방향성이 모호한 우파 단체를 띄우는 장면을 편하게 봐줄 수는 없다. 이념의 편가르기로 해독하는 사람들이 이미 많다. 온라인 공간에만 들어가도 확인된다. 거친 비난의 언사들이 끓고 상식 있는 사람들은 또 입을 닫는다.
문재인 정권의 치명적 유산은 극렬 지지층이 초토화시킨 공론장이다. 전 정권이 부추긴 분열 풍토에 온건한 지성은 설 땅이 없었다. 공론장에서 맹렬 지지층의 심기를 건드렸다가 그 조상까지 신상이 털렸다. 좌우 극단이 아닌 지식인들은 그런 사이에 스스로 종적을 감췄다.
미국 자유주의의 혁신 방안을 고민했던 존 듀이는 “각자의 이기심에 매몰돼 지적·도덕적 방향성을 지닌 사회조직으로 연대할 수 없다는 것이 자유주의의 무능”이라고 진단했다. 20세기 초 미국 자유주의의 약점이 우리 현실의 자유주의 약점과 판박이로 닮았다. 적의(敵意)의 정치에 지성계가 침몰한 현실을 최근 저술에서 분석한 사회학자 송호근은 “지적 담론에서 이탈해 세속의 무책임한 판단과 결합하는 경향이 사회의 속물화를 낳았다”고 짚었다. 이보다 더 정확한 진단은 없을 것이다. 윤 정부의 자유주의가 실패하지 않으려면 지적·도덕적 방향으로 힘이 들어도 끊임없이 몸을 돌려야 한다. 전 정권과 차원이 달라야 한다.
소설가 김훈이 문득 자주 궁금해진다. 지난달 신문 칼럼에 조국 비판의 두 문장을 넣었다가 친야 강성 지지층에게 수모를 겪고는 “할 말이 없다”고 했다. 좌도 우도 아닌 공론장에서 좌도 우도 주목한 지성계의 거의 유일한 생존자. 그마저 입을 닫아 버릴까, 그게 두렵다.
2023-09-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