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말 제대로 알고 쓰자…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책들

한국말 제대로 알고 쓰자…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책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8-06 14:22
수정 2023-08-06 14: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어원의 발견’ 표지 사람in 제공
‘어원의 발견’ 표지
사람in 제공
‘말 한마디로 천 냥 빚 갚는다’는 말이 있다. 이 속담은 말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고운 말은 듣는 사람을 기분 좋게 만들지만 잘못된 말은 없던 어려움을 만들기도 한다. 정치인이나 공직자들은 특히 말과 단어의 선택을 신중히 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해 설화(舌禍)에 시달리는 경우를 요즘 자주 보게 된다.

또 최근에는 방송 미디어에서도 공공연하게 알아들을 수 없는 줄임말이나 비속어가 사용되면서 한국어 파괴가 점점 심각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문제의식 때문인지 최근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들이 유독 눈에 띈다.

‘어원의 발견’(사람in)은 우리가 흔히 쓰는 말속에 깃든 본뜻과 역사를 살펴볼 수 있도록 돕는다. 국어사전이나 백과사전처럼 그저 뜻풀이만 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작품 속 한 문장을 통해 어원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사람을 놀릴 때 쓰는 ‘얼레리꼴레리’의 표준어는 ‘알나리깔나리’다. ‘알나리’는 나이 어리고 키 작은 사람이 벼슬했을 때 관복 입은 모양이 우스워 농담으로 ‘아이 나리’라고 부르던 말에서 유래됐고 뒤에 운율을 맞추기 위해 ‘깔나리’가 붙었다는 식이다. 이처럼 어원을 찾아가다 보면 우리말의 맛을 새로 느낄 수 있고 역사까지 알 수 있어 요즘 강조되는 인문학적 사고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이미지 확대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시대의창 제공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시대의창 제공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시대의창)은 문법이 단순히 학교 시험이나 입사 시험 등을 치를 때나 필요할 뿐 일상생활에서는 쓸모없다는 편견을 깬다. 진짜 문법 공부란 시험을 위해 법칙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말과 글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규칙을 몸에 익히는 것이 핵심이라는 것이다.

문법이 제대로 서지 않은 말이나 글은 타인을 이해시키기 어렵다고 강조한다. 흔히 접할 수 있을 것 같은 일상 문장으로 단어의 쓰임이 적절한지, 문장이 문법에 맞는지를 따져보면서 자연스럽게 말과 글에 대한 감수성을 기를 수 있게 돕는다.
이미지 확대
‘외래어 대신 쉬운 우리말로!’ 마리북스 제공
‘외래어 대신 쉬운 우리말로!’
마리북스 제공
‘외래어 대신 쉬운 우리말로!’(마리북스)는 지난 십수 년 동안 국어 전문기관들에서 내놓은 다듬은 말 중에서 가장 시급하게 검토해야 할 360개의 외래어, 일본어, 한자어를 다룬다.

‘금일까지 과제 제출’을 ‘금요일까지 과제 제출’로 오해했다거나 ‘과소비를 지양해야 한다’라는 말을 ‘과소비를 지향해야 한다’로 잘못 썼다는 식의 이야기를 인터넷에서 종종 볼 수 있다. 저자는 우리말로 써도 되는 외래어, 외국어, 뜻이나 발음이 바뀌어 사용되는 일본어, 뜻을 알기 어려운 한자어와 전문 용어 등을 우리말 대안어로 제시한다.

저자들은 “우리말을 쓸 때 중요한 것은 ‘과연 나는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말을 쓰고 있는가’를 생각해야 한다는 점”이라며 “우리 일상생활에서도 다듬은 우리말을 더욱 많이 사용해야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강을 건너는 소통이 어려운 말 때문에 가로막히는 일이 없을 것이다”라고 조언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