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장학제도 등으로 학부모들의 학비 걱정은 조금이나마 덜해진 반면 자녀를 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한 사교육비 걱정은 더 크게 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학원 및 보습 교육 물가는 전년보다 32%나 올랐다고 한다. 입시 학원들의 한 달 수강료가 200만∼300만원에 달한다고 하니 웬만한 월급쟁이는 월급의 절반 이상을 자녀의 학원비로 사용해야 할 정도다. 사교육시장은 불경기를 모르는 산업이 됐다.
수능의 ‘킬러 문항’이 또다시 도마에 올랐다. 2019년도 수능 국어영역 31번 문제는 지금까지도 수험생과 학원가에서 대표적인 킬러 문항으로 회자되고 있다. 당시 수험생 가운데 상당수는 지금도 황당함을 넘어 분노를 삭이지 못하는 등 ‘악몽’으로 남아 있다. 국어영역임에도 물리학의 만유인력 개념을 묻는 문제가 출제됐을 뿐 아니라 지문 자체를 이해하기조차 어려웠다. 2018학년도 수능에서는 수학 가형 30번 문제가 2%대에 불과한 정답률로 논란이 됐다. 수능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지나치게 어려워 효과가 없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수능 때마다 반복되고 있다.
수능 과목당 1~2개씩 출제된다고 하지만 고득점을 원하는 수험생은 킬러 문항에 대비하지 않을 수 없기에 교과과정 위주의 학교보다 사설 학원들을 기웃거릴 수밖에 없다. 수능에 킬러 문항이 자주, 많이 출제될수록 학원가는 쉽게 호황을 누린다는 게 정설이다. 실제 서울 강남의 학원들은 ‘킬러 문항, 준킬러 문항 다수 확보’, ‘킬러 문항 특강’ 등을 내세우며 고득점을 바라는 수험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일부 학원은 킬러 문항을 발굴하기 위해 공모전도 열었다고 한다. 1타 강사라는 유명 강사들의 연봉이 100억원을 넘는 데 킬러 문항은 큰 몫이 될 것이다. 그렇기에 “킬러 문항 출제는 약자인 아이들을 갖고 노는 것”이라는 대통령의 비판이 변별력과 수험생 혼란을 우려하는 반대의 목소리보다 설득력이 있다. 이런 걸 바로잡는 게 교육개혁이다.
2023-06-2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