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문화체육부 차장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난달 16일 서울 종로구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했던 말이다. 우리 콘텐츠에 대한 자부심이 묻어나는 표현이었다. 그러나 ‘언어의 힘’을 강조한 박 장관 말과 달리, 문체부 자료를 보면 고개가 갸웃거려진다.
예컨대 지난 4월 나온 ‘제2차 문화진흥 기본계획’ 보도자료가 이런 사례다. 자료는 ‘A-B-C-D’ 4대 추진전략을 내세웠다. A는 ‘Attractive Asset’, B는 ‘Beyond the Boundary’, C는 ‘Cultural Care’, D는 ‘Dynamic Diffusion’이라 소개했다. 각각 ‘매력 있는 문화자산’, ‘경계를 넘어’, ‘문화를 통한 돌봄·치유’, ‘역동적인 확산’이라는 의미란다.
알파벳마다 영어 단어 두 개를 조합했는데, 뜻이 되도록 억지로 짜 맞춘 흔적이 역력하다. 즉각 이해하기도 어렵고 전달하려는 의미 역시 흐리멍덩하다. 기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이 보도자료가 화제가 됐다. 다들 ‘되지도 않는 멋을 부린 보도자료’라든가 ‘기사로 쓰기 싫은 자료’라고 박하게 평가했다.
최근 보도자료들 역시 외국어로 가득하다. 퀸엘리자베스 국제콩쿠르 성악 부문 우승자 김태한에게 문체부가 축전을 보내는 4일 자료에는 ‘이번 수상은 K클래식의 글로벌 영향력을 각인시킨 강렬한 장면’이라고 썼다. 그냥 ‘우리 클래식의 힘을 전 세계에 보여 줬다’고 하면 될 일이다.
50일 앞으로 다가온 2023 FIFA 여자월드컵 관련 ‘붐업 행사 개최’라는 지난 1일 보도자료 역시 마찬가지다. 관련 행사로 ‘서포터스와 함께하는 여자월드컵 응원 토크쇼’, ‘그라운드에서 리프팅 대결을 펼치는 스킬 챌린지’를 진행한다는 게 주된 내용이다. 굳이 이렇게 써야 하는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문체부는 국어 관련 주무 부처다. 문체부 국어정책과에서 언어정책 및 국어 관련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소속기관으로 국립국어원을 두어 올바른 언어생활을 지원하는 여러 사업을 수행한다. 몇 년 전까지도 무리한 영어 표현을 우리말로 바꾸는 일에도 열심이라 한 달에 한 번씩 순화 표현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런 문체부가 요즘은 영어가 가득한 자료를 쏟아내고 있다. 국립추모공원을 내셔널 메모리얼 파크라고 하면 멋있다거나, 국무위원을 지명하면서 ‘글로벌 스탠더드’에 적합하다거나, 반도체 인재 양성 정책을 발표하면서 ‘휴먼 캐피털’을 언급하는 현 정부의 기조를 무심히 따라가는 듯해 부처 출입 기자로서는 난감할 지경이다.
잘못 쓴 기사 표현을 바로잡은 편지를 30년 가까이 보내 ‘기자들의 교열 선생님’으로 불린 국어학자 고 이수열 선생은 “외국어를 한글로 바꾸려는 노력도 하지 않고 마구 외국어를 쓰는 것은 한글을 어딘가 촌스럽다고 느끼는 태도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박 장관이 말한 ‘언어의 힘’은 외국어를 많이 쓴다고 길러지는 게 아닐 터다. 우리 콘텐츠에 ‘K’라는 단어를 붙인다고 더 탁월해지는 것도 아니다. 제 역할을 알고 부단히 노력하는 이들 덕에 좋은 콘텐츠가 만들어지고 있는 거다. 문체부는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알고 있는 건가.
2023-06-0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