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한국어 쓰는 구글AI/이순녀 논설위원

[씨줄날줄] 한국어 쓰는 구글AI/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3-05-15 00:06
업데이트 2023-05-15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미국 국무부 산하 외교연구원(FSI)은 자국 외교관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외국어를 가르치고 평가하는데, 일정 수준의 구사 능력을 갖추기까지 걸리는 시간에 따라 66개 언어를 네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이에 따르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 9개 언어는 600~750시간으로 1단계다. 한국어는 이보다 3배인 2200시간이 필요한 난이도 최상급 언어다. 영어 원어민이 구사하기 매우 어려운 언어인 4단계에는 한국어 외에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가 있다.

난이도 높은 언어임에도 세계 무대에서 한국어의 인기와 위상은 상승하는 추세다. CNN 보도에 따르면 지난 1월 글로벌 언어학습 앱 듀오링고 조사에서 한국어는 지난해 7번째로 많이 학습된 언어로 꼽혔다. 전 세계 5억명 이상이 사용하는 듀오링고에서 한국어는 일본어엔 밀렸으나 중국어, 러시아어를 앞섰다. 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 등 케이팝과 ‘기생충’, ‘오징어게임’ 같은 영상 콘텐츠가 불붙인 한류의 거센 불길이 한국어에 관한 관심으로 이어진 것이다.

구글이 생성형 인공지능(AI) 챗봇 ‘바드’에다 영어 다음으로 한국어와 일본어 프로그램을 우선 탑재해 화제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한국어와 일본어는 영어와 매우 달라서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네이버에 앞서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에 한국어를 지원해 국내 검색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구글은 세계 검색시장 점유율이 90%에 육박하지만, 국내에선 네이버(62%)의 절반 수준이다.

글로벌 AI 기업의 한국어 관심은 구글뿐만 아니다. 독일 AI 커뮤니케이션 기업 딥엘은 지난 1월 딥엘 번역기에 한국어 서비스를 추가한 데 이어 오는 8월부터 국내 기업 고객 대상 유료 번역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최근 내한한 야레크 쿠틸로브스키 딥엘 CEO는 “한국어 사용 인구 규모가 크진 않지만 번역 서비스 수요가 높다”면서 “한국이 수년 내 세계 5대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이 개발하는 국내 초거대 AI 서비스가 올여름부터 출시된다. 한국어 특화 모델을 강점으로 내세운 이들 기업이 글로벌 기업의 공략에 어떻게 맞설지 주목된다.
이순녀 논설위원
2023-05-15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