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값 못하는 美월가 수익률… 中·유럽으로 ‘머니무브’

이름값 못하는 美월가 수익률… 中·유럽으로 ‘머니무브’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4-11 01:07
업데이트 2023-04-11 06: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연준 금리 인상… 경기 침체 우려
뉴욕증시 ‘초강세 마감’ 인식 확산
범유럽 지수에 수익률 추월당해

중국에 160억 달러 흘러 들어가
“세계의 공장, 무역 점유율 늘려”

이미지 확대
지난 8일 중국 하이난성 하이커우에서 열리는 중국 국제 소비자 제품 박람회(CICPE) 개막을 앞두고 전기차 브랜드 샤오펑이 자사 부스에 최신 유인 드론을 선보이고 있다. CICPE는 오는 10~15일 열린다. 하이커우 신화 연합뉴스
지난 8일 중국 하이난성 하이커우에서 열리는 중국 국제 소비자 제품 박람회(CICPE) 개막을 앞두고 전기차 브랜드 샤오펑이 자사 부스에 최신 유인 드론을 선보이고 있다. CICPE는 오는 10~15일 열린다. 하이커우 신화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대중 견제에도 세계 금융시장을 이끄는 월가의 투자자들이 중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공격적 금리 인상으로 뉴욕증시의 강세 흐름이 끝났지만 중국은 ‘위드 코로나’ 전환을 계기로 리오프닝 기지개를 켜고 있다.

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지금까지 미 시장에 집중 투자하던 월가의 펀드매니저들이 경기 침체 우려를 반영해 올해부터 해외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FT는 “올 들어 미국의 주식형 펀드에서 340억 달러(약 44조 8000억원)가량이 빠져나가 중국으로 160억 달러, 유럽 시장으로 100억 달러가 흘러 들어갔다”고 분석했다.

현재 월가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5%대로 끌어올린 뒤 이를 장기간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경제 체력이 좋은 새 투자처를 찾고 있다. 2008년 이후 범유럽 지수인 스톡스600 지수의 수익률이 미 대표 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를 4분기 연속 앞서는 등 미 증시의 수익률도 추월당했다. 중국 증시는 제조업 등 상대적으로 금리 영향이 적은 업종이 주류를 이룬다.

FT는 월가의 태세 전환으로 가장 큰 혜택을 볼 나라로 중국을 꼽았다. 미국의 끝없는 전방위적 압박에도 지난해 말 ‘제로 코로나’를 폐기한 뒤로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CNBC 방송도 씨티그룹 애널리스트들의 발언을 인용해 “중국 증시가 오는 9월 말부터 본격적인 상승세로 접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과 유럽의 성장 둔화로 인한 수출 감소와 중국 내 부동산 침체가 부담이지만 회복세 자체를 꺾지는 못한다는 판단이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이 차지했던 세계 경제의 중심에 중국이 더 가까이 다가왔다”며 “중국이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기간에 ‘세계의 공장’ 지위를 확고히 해 무역 점유율을 크게 늘렸다”고 평가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2023-04-11 9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