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날자, 이 봄/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의 詩와 視線] 날자, 이 봄/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입력 2023-03-15 02:06
수정 2023-03-15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꿈을 야무지게 쥐어라

꿈이 사그라진다면

삶은 날개 부러진 새가

되어 날지 못하네.


꿈을 야무지게 쥐어라

꿈이 가버린다면

삶은 눈으로 얼어붙은

황량한 들판이 되네.


랭스턴 휴스, ‘꿈’

새 학기가 시작된 학교 캠퍼스는 활력이 넘친다. 학생들의 표정에서 가벼운 설렘을 읽은 것이 내 착각은 아니리라. 팬데믹으로 사람들을 활발하게 만나지 못한 시간에도 우리 학생들은 많이 자랐다. 각자 자기 자리에서 읽고 걷고 쓰면서 자기 경험의 나이테에 무언가를 새겨 넣은 것이다. 1학년 수업과 4학년 수업이 분위기가 좀 다른데, 졸업을 앞두고 이런저런 진로를 모색하는 학생들의 얼굴은 진지하고도 깊다. 탐험을 막 시작한 자의 발랄함 대신 현실적인 한계를 절감한 자의 고민의 무게가 어려 있다.

여러 해 힘겹게 노력한 끝에 꿈을 막 이룬 학생도 있지만 꿈을 잘 모르겠다고 하는 학생도 있다. 기쁨과 초조함 모두에 공감하며 말한다. 꿈을 막 이루고 난 후엔 또다시 새로운 고민이 시작되니 꿈은 늘 현재 진행형으로 새롭게 꿔야 한다고. 나 꿈을 이뤘어! 하는 순간, 일상은 누추한 반복으로 떨어지고 권태가 쌓인다고. 그래서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익숙한 꿈을 새롭게 갈무리하며 야무지게 쥐고 있어야 한다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시인으로 20세기 중반을 살았던 랭스턴 휴스에 따르면 꿈은 계속해서 멀어지고 유예되는 지향점이다. 버스 안에서도 피부색에 따라 앉는 좌석이 분리되던 시절이었으니 일상에서 발생하는 차별과 배제는 굳이 말할 필요조차 없다. 평등이나 자유, 인권 등 지금 시대 당연히 여겨지는 단어가 너무 요원한 삶의 조건이던 시절. 사람으로 태어나 배우고 자라며 사랑을 꿈꾸고 자기 목소리와 권리를 충족하는 일은 큰 사치였다. 꿈은 어쩌면 불가능 그 자체였다.

그러나 시인은 당부한다. 그럴수록 더욱 꿈을 야무지게 붙들라고. 꿈이 사그라지면 삶은 날개 잃은 새가 된다고. 새는 날개에 있는 관절을 접었다 펴면서 공기를 아래쪽으로 밀어낸다. 그 힘으로 중력을 거슬러 난다. 새의 날갯짓은 우리가 현실에서 꿈을 이뤄 나가는 과정과 흡사하다. 당연하게 우리를 내리누르는 힘을 거슬러 차고 오르는 것. 거스르는 힘. 시의 두 번째 연에서 시인은 꿈이 사라진 삶을 눈으로 얼어붙은 황량한 벌판에 빗댄다. 영어 ‘barren’은 땅이 거칠고 메말라 어떤 것도 생산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꿈을 잃은 삶, 자라지 못하는 인생은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그래서 시인은 재차 당부하는 것이다. 꿈을 단단히 야무지게 붙잡고 있으라고.

꿈이라는 지향점을 품는 일은 그러므로 삶의 가장 중요한 방향타를 놓지 않는 힘이다. 꿈 깨. 꿈꾸고 있네. 꿈을 부정적으로 사용하는 일상의 말들이 많고, 꿈은 가진 자에게만 허락된다는 냉소와 허무가 만연한 이 세계에서 시인을 따라 우리 각자의 꿈을 처음인 듯 헤아려 본다. 우리를 꿈에서 멀어지게 하는 이유는 차고 넘치지만 그럴수록 더욱 꿈을 되새긴다. 버티고 거스르며 힘차게 날아 보자고, 이 봄!
2023-03-1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