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죄송”… 5·18 계엄군·총 맞은 시민군 43년 만에 화해

“너무 죄송”… 5·18 계엄군·총 맞은 시민군 43년 만에 화해

홍행기 기자
홍행기 기자
입력 2023-03-15 02:05
수정 2023-03-15 02: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당시 3공수 진압군, 눈물의 사죄

“광주교도소 경계근무 때 실탄 지급
부대원 구타 못이겨 시민군 찔러”
피해자 “군인도 피해… 가슴 아파”

대검으로 찌른 피해자는 못 찾아
이미지 확대
맞잡은 손
맞잡은 손 계엄군이었던 김귀삼(왼쪽)씨가 14일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 대동홀에서 열린 ‘오늘의 증언이 5·18 진상규명의 첫걸음이다’ 행사에서 당시 상황을 증언한 뒤 시민군 김태수씨와 손을 맞잡고 있다.
광주 뉴스1
1980년 5·18 당시 광주교도소 앞에서 시민을 향해 발포한 계엄군과 그 총에 맞은 시민이 43년 만에 만났다. 계엄군은 사죄했고, 피해자는 용서했다.

14일 광주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오늘의 증언이 5·18 진상규명의 첫걸음이다’ 행사가 열렸다.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와 공로자회, 특전사동지회가 주관한 이날 행사에는 5·18 당시 광주에 진압군으로 투입된 3공수여단 3대대 중사 출신 김귀삼(68)씨와 총상을 입었던 시민군 김태수(68)씨가 참석했다.

다만 김귀삼씨가 ‘5월 20일 저녁 광주신역 부근에서 대검으로 엉덩이를 찔렀다’며 사죄하고 싶다고 밝힌 피해자는 찾지 못해 만남이 이뤄지지 않았다.

광주 치평동이 고향인 김귀삼씨는 5월 20일 광주에 도착해 진압작전에 투입된 것부터 광주교도소 경계 작전에 나설 때까지의 처참했던 43년 전 당시 상황을 담담하게 증언했다.

김귀삼씨의 부대는 20일 오후 8시쯤 골목길에서 대기하다 시민군과 충돌했다. 강제 해산 과정에서 반항하는 시민군을 심하게 구타했다. 김귀삼씨는 “광주가 고향이라 포로에 형제나 친구가 있는지 확인하려고 했지만 부대원들의 구타가 심해 찾을 수 없었다”며 “매를 맞으니 할 수 없이 착검해 시민군을 찔렀다”고 설명했다.

김귀삼씨는 다음날 광주교도소 경계 근무에 투입됐다. 그는 “이때 처음 실탄이 지급됐다”며 “접근하는 차량을 잡으라고 지시받았다”고 증언했다. 그는 서 있는 시내버스에 총을 쐈다. 김태수씨가 이 버스에 타고 있었다. 부상자 후송 업무를 맡았던 김태수씨는 “피곤해서 잠시 쉬려고 버스를 댔는데 갑자기 총소리가 났다”며 “기사는 물론 같이 있던 학생 모두 죽은 것 같았다”고 말했다.

김태수씨는 오른쪽 허벅지에 총상을 입고 끌려간 뒤 무자비한 폭행을 당했다. 구속은 피했지만 평생 다리 장애에 시달렸으며, 심각한 정신적 트라우마를 겪어야만 했다.

김귀삼씨는 “우리가 쏜 총에 많은 사망자가 나왔다는 것에 죄책감을 느꼈다”며 “김태수씨와 함께 기억을 맞춰 보니 오늘에서야 그간의 상황을 알게 됐다. 피해자를 만나니 너무 죄송스럽다”고 머리 숙여 사죄했다.

김태수씨는 “지금까지 3공수여단 출신 군인은 짐승이라고 생각했다”면서 “하지만 그들도 피해를 입었고 트라우마로 고생했다고 하니 가슴이 아프다. 화해하겠다”며 손을 내밀었다.
2023-03-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