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가수, 국가 가사 한 단어만 살짝 바꿔 불렀는데

캐나다 가수, 국가 가사 한 단어만 살짝 바꿔 불렀는데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2-22 11:27
수정 2023-02-22 13: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캐나다 가수 줄리 블랙이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유타주 솔트레이크 시티의 비빈트 아레나에서 열린 미국프로농구(NBA) 올스타 게임에 앞서 캐나다 국가 ‘오 캐나다’를 들려주고 있다. 솔트레이크 시티 AFP 연합뉴스
캐나다 가수 줄리 블랙이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유타주 솔트레이크 시티의 비빈트 아레나에서 열린 미국프로농구(NBA) 올스타 게임에 앞서 캐나다 국가 ‘오 캐나다’를 들려주고 있다.
솔트레이크 시티 AFP 연합뉴스
캐나다 가수 줄리 블랙이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프로농구(NBA) 올스타게임이 열린 유타주 솔트레이크 시티 스타디움에서 캐나다 국가 ‘오 캐나다’를 불렀는데 단어 하나를 살짝 바꿔 불렀다. ‘우리 집과 조국의 땅’(our home and native land) 대신 ‘조국의 땅 위에 있는 우리 집’(our home on native land)으로, 단어 ‘and’을 ‘on’으로 바꿨을 뿐이었다.

그는 이렇게 가사를 바꿔 부르기 전 “비밀을 간직한 것처럼” 어느 때보다 긴장했다고 털어놓았다고 영국 BBC가 21일 전했다.

단어 하나 바꿨을 뿐인데 원주민들의 권리에 경의를 표한 것이라는 상당한 찬사가 쏟아졌다. 한 세기 이어진 국가 가사를 바꾼 것이 영원히 지속돼야 한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토론토에서 태어나 자란 블랙은 몇년 전부터 국가를 부르지 않았다고 털어놓았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원주민 청소년 15만명 정도를 부모로부터 떼내 기숙학교에 살게 한 다음 적어도 3200명이 목숨을 잃자 증거를 은폐하기 위해 암매장한 충격적인 사실이 알려지면서였다.

블랙은 “모든 이를 까무러치게 놀라게 했다”고 돌아본 뒤 NBA 농구 경기에 초청돼 캐나다 국가를 불러달라는 요청을 받은 뒤 어릴 적부터 불러온 국가 가사를 찬찬히 들여다 볼 때가 됐다고 생각했다고 털어놓았다. 그렇게 뜯어보자 바꿀 가사가 너무도 명확히 보이더라고 했다. “‘Our home and native land’은 거짓이고, ‘Our home on native land’가 진실이다.”

마니토바 대학에서 원주민 연구를 하고 있는 니이간 싱클레어 교수는 “줄리 블랙이 해낸 일은 자신의 권능과 기회를 나눠 우리를 주목하게 만든 것”이라며 “모든 캐나다인들의 귀감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근본적으로 국가는 깃발이나 법률, 정치처럼 우리 원주민들을 짓누르는 데 이용돼 왔다. 우리가 항거하면 할수록 더 나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물론 이렇게 국가 가사를 바꿔 부른다고 원주민들 삶의 질이 개선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단어 바꿔 부르는 일보다 원주민 출신들이 매일 겪는 압제와 폭력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도 했다.

일부에선 가사를 바꿔 부른 일을 탐탁치 않아 했다. 일간 토론토 선의 칼럼니스트 로리 골드스타인은 트위터에 “캐나다는 이 땅에 태어난 누구에게나 ‘조국의 땅’”이라고 적은 뒤 “그녀가 말하고 싶었던 요점을 감안할 때, ‘원주민 땅에 있는 우리 집’이 더 정확할 것이지만, 그렇게 하지는 않았다”고 했다.

블랙은 이런 반응들이 반갑다고 했다. “그런 일에 대해 말하는 데 부정적이었던 사람들조차 얘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는 일이 어쨌든 좋은 일이다.”

그런데 캐나다 국가 가사는 2018년에 한 차례 변경된 일이 있다. ‘당신네 아들들 모두 명한 대로’(all thy sons command)가 젠더 중립적인 표현 ‘당신네 모두가 명한 대로’(all of us command)로 바로잡힌 것이었다. 당시 캐나다 상원은 “오 캐나다가 이제야 비로소 우리 모두를 포용하게 됐다”고 반겼다.

그리고 지금은 몇몇이 블랙이 비공식적으로 바꾼 가사가 영구적이 됐으면 하고 바란다. 물론 적어도 그녀 자신에게는 이런 변화가 영구적일 것이라고 방송은 지적했다. “이제 다른 식으로는 국가를 부를 수가 없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