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규 번역가
“남편분과 처음에는 중국어로 대화했다고 하셨죠? 지금도 그러시나요? 그리고 아이들은 한국어를 좀 할 줄 알고요?”
그는 쓴웃음을 지으며 고개를 저었다. “아뇨. 중국어는 저한테나 남편한테나 모국어가 아니잖아요. 게다가 남편의 고향에 이주하고 보니 아무래도 남편이 영어 쓰는 걸 편해하더라고요. 결국 제가 영어를 배워 소통하게 됐어요. 아이들도 자연스레 영어를 쓰게 됐고요. 한국어를 가르쳐 보려고는 했지만 힘들더라고요.”
“와, 그러면 너무 힘드시겠네요. 종일 한국어 쓸 기회가 전혀 없잖아요.” 이런 까닭에 그 머나먼 타향에서 중국어 번역가가 될 결심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 그는 말했다.
“나날이 한국말을 잃어 가고 있었어요. 현지 대학원까지 진학해서 영어 훈련을 했지만, 그렇다고 모국어가 바뀌지는 않잖아요. 모국어를 잃는다는 게 무슨 의미인지 아세요? 그건 생각하는 방법도 잃는다는 걸 뜻해요. 혼자 멍하니 있는 시간이 늘어 갔어요. 내가 누구인지도 알 수 없는 시간이 말이죠. 그러다가 문득 나를 되찾고 싶어 중국어 번역을 하게 된 거예요. 중국어를 한국어로 옮기다 보면 잃어 가는 한국말을 되돌릴 수 있을 것 같아서요.”
문득 지난주 대만에서 만난 INK출판사 추안민 사장이 떠올랐다. 66세의 화교인 그는 대전에서 성장기를 보냈다. 1977년 스무 살의 나이에 대만으로 건너가 대학을 졸업하고 출판계에 투신해 현재는 대만 굴지의 문학 전문 출판사를 운영하고 있다. 그를 보고 내가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던 건 그가 아주 표준적인(?) 충청도 사투리의 한국어를 완벽하게 구사했기 때문이다. 한국을 떠난 지 무려 46년이 흘렀는데도, 나아가 모자란 중국어 능력을 보완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기울여 현지에서 시인으로 등단하기까지 했는데도 말이다.
어쩌면 그렇게 한국어를 하나도 안 잊었느냐는 내 물음에 추 사장은 설명은 안 해 주고 웃기만 했다. 사실 그를 비롯한 대만의 한국 화교들에게 지난 세월 한국과의 인연은 사는 데 도움될 게 전혀 없었다. 1992년 한국과 대만의 급작스러운 단교 때문에 형성된 대만 내 반한 감정 때문이었다. 그런데도 추 사장은 다른 한국 화교들과 자주 술집에 모여 흘러간 한국 노래를 부르고, 또 저녁마다 한국 뉴스를 챙겨 보았다고 한다. 그에게 한국은 조국이 아닌데도, 심지어 그를 쫓아내다시피 밀어낸 원망의 대상인데도 말이다.
그날 밤 추 사장은 술에 취해 어니언스의 ‘편지’를 부르다가 내 의문의 답이 될 말을 흘렸다. “그리워서유…. 그때가 너무 그리워서 말이에유.” 어쩌면 현대인에게 진정한 조국은 나라나 민족 같은 게 아니라 양수처럼 따뜻하게 어린 시절을 감싸 준 언어와 문화가 아닐까.
2023-02-15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