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윈플러스파트너스 제공
우리 관객을 이제 만난다는 부담감 때문일까. 정 감독은 지난달 시사 후 기자간담회는 성에 안 찼는지 지난 6일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취재진을 만났다.
‘다음 소희’는 2016년 전주의 한 특성화고 여학생이 콜센터에 현장실습생으로 취업했다가 자신의 행복보다 가족과 직장, 팀, 학교의 압력을 견뎌내지 못하고 극단을 선택한 사건을 다룬다. 경직되거나 강요하지 않고 차트에 매몰되고 질식된 수많은 ‘다음 소희’가 나오지 않도록 모두 단단히 여미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차분하게 전달한다.
정 감독은 감정 변화 없이 나직한 목소리로 속이 얼마나 여물었는지 보여줬다. “아무것도 모른 채 각본 달랑 써서 ‘도희야’를 초읽기 식으로 연출했을 때보다 현장을 통제하고 완급을 조절하며 촬영했다”고 제작 과정을 돌아봤다.
그는 “전주 사건 이후에도 현장 실습 나간 아이들이 죽거나 다치고, 목숨을 끊는 일이 이어진다는 것을 알게 됐다. 직접 시나리오를 쓰고 영화로 만들자고 생각했다. 늦었지만”이라고 말했다. 데뷔작에서와 마찬가지로 배두나는 진실을 파헤치고 과하다 싶을 정도로 장학사와 대기업 책임자, 교사에게 따지고 대든다. “오유진 형사가 이토록 척박한 노동현실을 추적한 기자와 사회가 던져야 할 질문을 대신 던지게 했다”면서 “배두나를 다시 불러낸 것은 각본을 그만큼 적확하게 파악하고 현장의 분위기를 다잡을 만한 배우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저는요, 시나리오 작법을 제대로 배운 적이 없어요. 지문 등에 명시하지 않고 여백으로 놔둔 것들을 그는 정확하게 짚어냅니다. 너무 신이 났어요.”
투자자들이 상업적으로 만들면 안 되겠다고 말하는 자신을 믿어준 것도 무척 고마웠단다. 소희 역을 완벽하게 소화한 김시은에게도 감사를 전했다.
“다른 나라 분들이 공감해주니 우리 관객도 좀 더 공감할 수 있지 않을까 싶긴 한데 우리 관객이 더 까다롭게 보지 않을까요. 우리 자신의 이야기니 더 힘들게 바라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