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사도광산 ‘세계유산’ 신청? 역사왜곡 속지 말길”…유네스코에 편지

“日사도광산 ‘세계유산’ 신청? 역사왜곡 속지 말길”…유네스코에 편지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3-02-02 09:26
수정 2023-02-02 10: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서경덕 교수 제공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서경덕 교수 제공
지난달 20일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니가타현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재신청한 것과 관련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내용의 서한을 유네스코 측에 보냈다.

2일 서교수는 “최근 일본 정부는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니가타현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시키기 위해 재신청을 했다”면서 “이에 대해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에게 일본의 역사왜곡에 관한 서한을 우편으로 보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신청을 하면서 유산의 대상 기간을 16~19세기 중반 에도시대로 한정했다. 조선인 강제노동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기 위해서다.

서한에 이 내용을 담은 서 교수는 “이는 유산이 지닌 ‘전체 역사’를 외면한 처사이자, 유네스코의 보편적 가치에도 위배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또 서 교수는 “지난 2015년 군함도 등을 세계유산으로 등재시킬 때 일본 정부는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하에서 노역을 했다’고 언급하고,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했었다”며 “그러나 지금까지도 그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 이게 바로 일본의 본 모습이다”고 했다.

서 교수는 “그러니 더이상 일본의 역사왜곡에 속지 말고, 이번에는 유네스코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서한에는 지난해 한국 및 다양한 국가의 네티즌 10만여명이 동참한 ‘일본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반대 서명’ 결과가 함께 첨부됐다. 아울러 세계유산센터장, 유네스코 190여개 회원국, 세계유산위원회 21개 위원국,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전 회원국의 대표 메일로도 발송됐다.

서 교수는 향후 사도광산에 관한 세계적인 유력 매체의 광고 집행, 다국어 영상 제작 및 전 세계 배포 등을 통해 국제사회에 사도광산 강제노역의 역사적 진실을 지속적으로 알려나갈 예정이다.
이미지 확대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외부.  서경덕 교수 제공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외부. 서경덕 교수 제공
한편 일본 정부는 지난해 2월 사도광산이 17세기 세계 최대 금 산출량을 자랑하며 금의 채취에서 정련까지 수작업으로 한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광산이라며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했다. 그러나 유네스코는 일본이 제출한 서류에 유산 관련 설명이 충분하지 않다며 심사를 진행하지 않았다.

지난해 9월 일본 정부는 유네스코의 지적 사항을 보완해 잠정 신청서를 다시 제출했다. 절차가 정식으로 진행될 경우 2024년 여름 등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일본정부는 유산의 대상 기간을 에도 시대(1603~1867년)로 한정함으로써 조선인 강제노역 사실 등 불리한 과거사를 배제했다. 태평양전쟁 당시 사도광산을 전쟁 물자 확보를 위한 광산으로 활용했고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기 위해 조선인을 대거 동원한 데다 월급조차 제대로 주지 않은 부정적인 과거는 의도적으로 제외한 것이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2015년 등재된 ‘일본 근대산업시설’ 관련 후속 조치가 충실히 이행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 정부가 유사한 배경의 사도광산을 또다시 세계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면서 “정부는 전시 강제노역의 아픈 역사를 포함한 전체 역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유네스코 등 국제사회와 함께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