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위원들이 출품작들을 심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준규 서울신문사 마케팅 부본부장, 김병희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조병량 한양대 광고홍보학부 명예교수(심사위원장), 김성수 서울신문사 마케팅본부장.
그런 가운데 최근 대기업 총수들의 메시지에서 몇 가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기업 집단 총수들의 발언에서 ‘사랑받는 기업’, ‘사회적 가치 창출’, ‘지속가능한 미래’, ‘기업철학’, ‘함께’, ‘동반’ 등 기업의 사명이나 철학, 사회적 영향력과 관련된 어휘들이 과거보다 자주 등장한 것이 그중 하나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ESG(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라는 단어의 유행과도 맥이 닿아 있는 현상이다.
그러나 ESG가 기업의 단기성과가 아니라 기업이 존재하는 장기적 가치와 장기전략의 영역이라는 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영향력도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차원에서 이해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올해 출품된 신문광고들에서는 오히려 기업의 철학이 담긴 대형 캠페인 광고나 사회적 이슈를 주도하는 주목할 만한 작품이 드물었고, 출품작품 수도 예년에 비해 크게 줄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았다.
마케팅대상의 기아 셀토스광고는 사진의 작품 수준과 상품이 주인공으로 잘 부각되고 있는 점이, 우리금융의 ‘I+You=우리’ 광고는 브랜드와 모델의 연관성을 잘 활용한 점이 각각 평가되었다.
KB금융그룹의 ‘K-Bee’ 광고는 ‘꿀벌실종’이라는 사회적 이슈와 도시양봉장 조성이라는 기업의 활동을 연결하는 한편, 이를 통해 생태계 회복에 앞장서는 기업의 ESG 철학을 잘 전달한 점이 돋보였다.
광고는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와 철학, 경영전략과 마케팅 활동이 종합적으로 드러나는 ‘기업언론’인 동시에 ‘기업 메시지’이며 그 기업의 수준을 알리는 ‘작품’이다. 그런 점에서 기업은 좋은 기술, 좋은 상품, 좋은 일자리와 함께 ‘좋은 메시지’로 사회에 기여하고 고객과 교감해야 한다. 그것이 ‘좋은 기업’, ‘사랑받는 기업’이 되는 길이다.
사회 경제적 어려움이 지속되는 힘든 시기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광고의 사회적 책임’을 위해 힘쓰고 있는 수상기업과 광고인들의 노고에 축하와 격려를 보낸다.
조병량 심사위원장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