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누리집에 따르면 올해 들어 뎅기열, 치쿤구니야, 지카바이러스 등 모기가 옮기는 법정 감염병의 해외 유입 환자들이 나란히 늘었다.
뎅기열의 경우 올해 들어 현재까지 61명의 환자가 나왔다. 모두 해외 유입 사례로, 대부분 동남아에서 들어왔다. 뎅기열 환자는 코로나19 이전에 한 해 100~300명씩 나왔으나 코로나19 규제 속에 2020년 42건, 2021년 3건으로 줄었다.
마찬가지로 모기가 옮기는 감염병인 치쿤구니야열도 올해 들어 5명의 해외 유입 환자가 나왔다. 국내 치쿤구니야열 환자는 2013년 2명이 처음 보고된 후 2019년엔 16명이 나왔다가 2020년 1명, 2021년 0명이었다.
2018년과 2019년 각각 3명씩 해외 유입 환자가 나왔던 지카바이러스 감염증도 올해 2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2020년 국내 실험실 감염으로 나왔던 1명을 제외하고 해외 유입 환자로는 3년 만이다.
또다른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의 경우 2020년 385명, 2021년 294명으로 예년보다 줄었던 환자가 올해 들어서는 398명으로 늘었다. 이중 해외 유입 환자는 19명으로, 지난해 전체(20명)와 비슷한 수준이다.
● 모기매개 감염병, 원인과 증상은모기매개 감염병은 보통 환자를 흡혈한 모기가 다른 사람을 물어 전파된다. 일상적인 사람 간 접촉을 통해서는 전파되지 않는다. 드물게는 수혈, 장기이식과 같은 혈액 전파가 이뤄지거나,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성 접촉 시 감염이 이뤄질 수도 있다.
여행 중 모기매개 감염병에 걸렸을 경우 무엇보다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중요하다. 귀국 후 2주 이내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에 방문해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받는 것이 좋다.
증상은 감염병마다 다르지만 주로 발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결막염 등이 나타난다. 증상이 발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주로 발진 증상이 나타나고, 관절통과 관절염, 결막 충혈 등 증상이 동반된다. 말라리아는 발열과 권태감이 서서히 발현해 초기 며칠 동안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뎅기열의 경우 치료 시기가 늦으면 치사율이 20%까지 치솟을 수 있어 위험 지역에서 모기에 물린 후 고열, 두통, 발진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