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속마음까지 찾아낸 문화재 보존의 비밀

문화유산 속마음까지 찾아낸 문화재 보존의 비밀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2-11-03 17:28
수정 2022-11-04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과학으로 보는 문화유산/신은주 지음/초록비책공방/325쪽/2만원

이미지 확대
‘계영배’는 아주 특별한 조선 백자다. 경계할 계(戒), 찰 영(盈), 잔 배(杯)에서 보듯 ‘가득 참을 경계하라’는 가르침이 담겼다. 술이 7할 정도 차면 더 채워지지 않는 특별한 구조에 의해 술이 저절로 빠져나간다. 이 비밀스러운 구조를 확인하려면 단면으로 잘라야 하는데, 하나뿐인 문화유산을 훼손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때 필요한 게 컴퓨터단층촬영이다. 비파괴 검사로 내부 구조를 파악하고 제작 기법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계영배’ 입장에선 새 생명을 얻는, 후손으로선 선조들이 미래에 전한 메시지를 획득하는 순간이다.

‘과학으로 보는 문화유산’은 흔히 ‘과거를 미래에 전하는 학문’이라 일컫는 보존과학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문화재에 담긴 삶과 정신을 과학의 시선으로 풀어낸다.

문화재 보존과학자는 종종 의사에 비유된다. 문화재를 발굴, 진단, 처리, 보존하는 과정이 의료 현장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광주 신창동 출토 목기를 예로 들자. 땅에 묻힌 목재는 썩지만 저습지에 묻히면 다르다. 목재 세포에 물이 채워지고 공기와 차단돼 썩지 않는다. 이런 ‘수침목재’도 땅 위로 발굴되는 순간, 수분이 증발하며 눈 깜짝할 사이에 형태가 변한다. 잠깐의 실수로 수천년을 견딘 의미가 사라지는 것이다. 목재 같은 유기물이 출토되면 물이 담긴 용기에 담아 신속하게 보존처리실로 옮겨야 한다. 이런 일을 하는 이들이 보존과학자다.

책은 금속, 토기, 목재 등 소재별로 나눠 문화재 보존 처리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한국 고고학사의 위대한 발견이라는 명성과 졸속 발굴이라는 오명을 동시에 안은 충남 공주 무령왕릉, 서양 우월주의 ‘모비우스 학설’을 폐기하게 만든 경기 연천 전곡리 주먹도끼 등 흥미로운 발굴 이야기들이 가득하다. 저자는 “보존과학은 오랜 시간 먼지 아래 숨어 있던 본래의 가치와 의미가 드러나게 하는 분야”라며 “역사를 보는 또 하나의 시선인 과학을 통해 우리는 미래를 꿈꿀 수 있다”고 말했다.



2022-11-04 1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