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잘 소통되는 우리말을 사용합시다

더 잘 소통되는 우리말을 사용합시다

이경우 기자
입력 2022-10-19 08:58
수정 2022-10-19 1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나운서 강재형의 우리말 나들이/강재형 지음/도서출판 b/1만 7000원

지은이 강재형은 우리말에 죽고 살 정도다. 평창올림픽을 앞두고는 올림픽조직위원회에 조직위 명칭을 ‘평창겨울올림픽조직위원회’로 해 달라는 편지를 썼다. 일상에선 ‘겨울’이 주로 쓰이고 친근하게 전달되며 더 잘 소통된다고 생각했다. ‘동계’는 행정적이고 무겁고 딱딱한 말이었다. 그렇지만 결과는 모두가 아는 것처럼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였다. 그렇다 보니 대부분 언론이 ‘동계올림픽’이란 표현을 즐겨 사용했다. 이 말은 일상으로도 퍼져 갔다. 아쉬웠지만 그는 슬퍼하지 않고 때를 기다렸다.

올해 2월 중국 베이징에서 겨울올림픽이 열렸다. 이때 그가 있는 문화방송은 ‘동계’ 대신 ‘겨울’을 선택했다. 중국에서는 그들의 발음대로 ‘둥지’(冬季)라고 했지만, 우리 한자음 ‘동계’로 받지 않고 ‘겨울’로 번역하면 되는 것이었다. 방송에서 줄곧 ‘베이징겨울올림픽’이라고 밝혔다. 강재형의 제안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그는 생각한다. 말은 자신과 우리와 사회를 돌아보게 하고 다시 자신을 발견하게 한다고. 그래서 그는 우리가 지금 쓰는 말, 새로 만들어 가는 우리말에 대해 매일같이 관찰하고 말한다. 그것을 기록하는 것도 즐거워한다. 그렇게 지은 책이라 독자를 다시 기쁘게 한다.

책의 내용은 구체적이고 꼼꼼하다. 아나운서의 말실수, 퀴즈, 대담, 스포츠 중계와 해설 등에서 보이는 오류들과 말의 세계에 관해 에세이처럼 펼쳤다. 먼저 비슷하지만 잘 구별해 써야 하는 말들이 보인다. 예를 들면 엉덩이와 궁뎅이는 어떻게 다른지, 의사와 열사는 또 어떻게 구별되는지, 속과 소는 다르다든지 하는 것들이다. 책은 또 변화를 겪은 표준어에 관한 내용을 짚고, 우리말 속 일본어 잔재들을 바로잡아 보이기도 한다. 법조문 속 ‘징역 6월’과 ‘집행유예 10월’은 ‘징역 6개월’, ‘집행유예 10개월’이라고 해야 통한다고 알린다. ‘징역 6월, 집행유예 10월’은 일본어를 그대로 옮긴 것이다. 자신이 외친 것처럼 방송과 신문 기사에서 ‘월’이 아니라 ‘개월’로 쓰이는 것에 그는 기뻐한다.

한편으로는 ‘오뎅’의 표준어는 ‘어묵’이 아니라 ‘오뎅’도 별개의 표준어여야 한다고 그는 주장한다. ‘오뎅’은 어묵, 다시마, 무, 파 등을 넣고 끓여 낸 요리이고, ‘어묵’은 생선살 등을 으깨어 만든 재료라는 것이다. 일리 있는 주장이고 받아들일 만하다. 그는 아나운서답게 정확하게 발음하기도 강조한다. ‘표준 발음법’이 엄연히 존재한다며 방송에서는 이것을 어떻게 지키는지도 다뤘다.

그는 큰 것을 놓치며 살았다는 걸 어느 날에서야 깨달았다고 고백한다. 그 전에는 작은 것들이 더 눈에 들어왔다. 언어 규범에는 맞지 않더라도 소통이 더 중요하다는 통찰을 얻게 됐다고 말한다. 앞선 이들의 가르침은 ‘진리’가 아니라 단지 ‘일리’ 있는 것으로만 참고하게 됐다고 한다. 이런 것들을 책 속에 녹였다. 일리 있는 그의 기록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