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 전 세계 호령하는 K콘텐츠의 성장통/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특파원 칼럼] 전 세계 호령하는 K콘텐츠의 성장통/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2-10-04 20:12
수정 2022-10-05 09: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2017년 한반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전후해 중국에서 한국 연예인들의 활동이 사실상 금지됐다. 그럼에도 여전히 한류는 대륙 곳곳에서 살아 움직인다. 최근 방탄소년단(BTS) 멤버 뷔(김태형)는 ‘보그 코리아’ 10월호 표지 모델이 됐는데, 그의 사진이 담긴 잡지가 중국에서 7만 2000부 넘게 팔렸다. 소셜미디어에서 “여기에 오지도 않는 가수의 얼굴이 실린 한국 매체가 이렇게 큰 인기를 얻었다”며 화제가 됐다. 지난해 우리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세계를 강타했을 때 ‘베이징의 이태원’으로 불리는 싼리툰에서는 삼삼오오 커피숍에 모여 달고나 뽑기를 하는 젊은이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었다. 정부가 ‘만리방화벽’으로 해외 사이트를 차단해도 K콘텐츠 열풍까지 막진 못한다. 문화의 힘이 이렇게 대단하다.

그런데 요즘 중국에선 이에 반발하는 흐름도 꽤 생겨났다. 한류 콘텐츠에 유색인종·저개발국에 대한 무시가 깔려 있다는 이유다. 요즘 주가를 올린 드라마 ‘수리남’을 두고 중국인 시청자들의 ‘평점 테러’가 이어진 것이 대표적이다. 극중 차이나타운 수장으로 나오는 중국인 첸진(장첸 역)이 지나치게 잔인하고 나쁜 인물로 그려졌다는 것이다. 한 누리꾼은 “한국의 영화와 드라마는 늘 중국인을 이런 식으로만 묘사한다”고 비난했다. 기자도 ‘중국에서 그냥 넘어가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에 한동안 마음이 조마조마했다.

이런 ‘반(反)한류’ 현상이 중국에만 있는 것은 아닌 듯 하다. 마동석이 주연을 맡은 영화 ‘범죄도시2’는 베트남 상영이 금지됐다. “폭력적인 장면이 너무 많다”는 이유였지만 실제로는 영화가 베트남을 너무 부정적으로 묘사해 반감을 샀다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언급한 ‘수리남’은 한술 더 떠 외교 위기를 불러왔다. 남미의 소국에서 있었던 한인 마약상의 이야기를 다룬 이 드라마를 두고 수리남 외교부 장관은 “오랫동안 마약 국가 이미지를 바꾸려고 노력했는데 물거품이 됐다”고 강하게 항의했다. 한국 외교부는 현지 한인을 상대로 안전 공지를 내리기도 했다.

‘기생충’과 ‘헤어질 결심’, ‘오징어 게임’까지 바야흐로 K콘텐츠가 세계 무대를 뒤흔들고 있다. 수십년 전만 해도 과거 미국과 일본의 지적재산권(IP)을 베끼다시피 해 조롱과 비난이 컸지만, 시간이 지나며 미국의 지나친 선정성·폭력성을 지우고 일본의 과한 마니아주의를 벗겨내 보편성을 얻었다. 빈부 격차와 왕따, 차별 등 한국 사회의 여러 문제도 숨김없이 담아 독창성도 키웠다.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 글로벌 플랫폼과 결합해 ‘대박’을 쳤고, 아카데미나 칸영화제에서도 잇따라 수상해 작품성까지 인정받았다. 그런데 한국 드라마와 영화 속에서 속속 드러나는 인종차별적 인식은 아직도 해결하지 못한 숙제다.

이제 우리가 만든 콘텐츠를 합법·불법의 경계를 넘어 지구촌이 함께 본다. 미국과 유럽의 문화 강국들처럼 전 세계를 의식하며 작품을 만들어야 하는 때가 왔다는 의미다. 얼마 전 베이징에서 만난 중국 유명 사업가는 영화 ‘청년경찰’과 ‘황해’에 등장한 중국인(조선족)의 모습에 화를 내며 “어떤 나라가 성매매·성형수술 실태를 비난한 영화·드라마를 만들어 ‘대한민국’이라고 이름 붙이면 한국인들은 과연 기분이 좋겠냐”고 따져 물었다. 세계가 K콘텐츠를 향해 박수만 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으면 한다. 한류가 진정한 세계화를 위해 성장통에 접어들었다.

2022-10-0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