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과 나는 어떻게 연결되는가… 나의 밖에서 바라본 ‘나’

세상과 나는 어떻게 연결되는가… 나의 밖에서 바라본 ‘나’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09-08 17:06
업데이트 2022-09-09 0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누군가 나에 대해 말할 때

김경욱 지음
문학과지성사/304쪽/1만4000원

주인공 김중근은 ‘나’다. ‘나’이지만 자신과 사회적 거리를 두기 위해 3인칭으로 김중근이라 부른다. 누군가 자신의 이야기를 할 때면 심장이 덜컹거리는지라 ‘나’의 일이 아닌 김중근의 일이라고 여기면 편하단다. 부담스러운 타인의 관심을 벗어나 은둔형 외톨이로 세상을 겨우 살아가는 김중근은 사회적으로 서로 멀어진 사람 사이를, 팬데믹 시대에 느낀 독자들의 고독함을 생각하게 한다.

나는 과연 어떤 사람인가. 1993년 등단해 ‘소설 기계’란 찬사를 받은 김경욱 작가의 열여덟 번째 책이자 아홉 번째 소설집인 신작 ‘누군가 나에 대해 말할 때’는 여러 주인공을 통해 독자들에게 나를 다시 보게 한다. 대단한 존재이고 대단한 일을 벌일 수 있을 것 같지만 막상 남들은 크게 관심 없는 평범한 소시민임을 보여 주는 여러 주인공은 결국 우리의 모습과 닮았다.

김중근이 등장하는 표제작 ‘누군가 나에 대해 말할 때’처럼 이번 소설집은 제목부터 시선이 ‘나’를 향해 있다. 2021년 이효석문학상 우수상 수상작인 ‘타인의 삶’은 아버지의 임종 뒤 자신이 몰랐던 아버지의 모습을 알게 되면서 아들인 자신의 얼굴을 발견하는 이야기다. 주인공을 통해 우리는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우리를 돌아보게 된다. 세월호 참사를 떠올리게 하는 ‘튜브’나 김 작가가 처음으로 소설가의 소설을 쓴 ‘그분이 오신다’, 택시 기사의 이야기를 담은 ‘돼지가 하는 일’ 등 작가가 창조한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개성이 강해 이야기마다 전개가 흥미롭다. 소설 속 화자이기도 하고, 화자가 만난 타인이기도 한 ‘나’의 사연은 작가가 쓴 남의 이야기지만 독자들은 마치 자신의 이야기인 것처럼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

사람은 아무리 객관적인 입장이 되려 해도 나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살필 수밖에 없다. 소설 속 주인공들은 ‘나’에 대해 남의 이야기처럼 전하기도 하지만 ‘나’를 입체적으로 뜯어 보는 이도 결국은 ‘나’다. 소설 속 수많은 ‘나’를 보여 준 김 작가가 묻는 것은 ‘세상과 어떻게 연결돼 나는 내가 되는가’이고, 이를 통해 독자들도 자신과 연결된 세상과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류재민 기자
2022-09-09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