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경숙 세계축제연구소장
이토록 힘든 시기에 지역으로 눈을 돌려 야무지게 제자리를 찾아나선 청년들이 있다. 경북 문경의 오미자 청년들 얘기다. 동갑내기인 김기범군과 정지훈군은 문경에서 태어나 서울을 오가며 아르바이트를 하고 힙합을 즐기는 젊은 기획자다. 취업을 고민하던 차에 문경시의 한 축제에서 진행 보조 아르바이트와 행사 뒷정리를 하며 축제와 처음 인연을 맺었다.
마침 2020년 우리나라 축제산업의 최대 취약점인 전문인력 부족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자 마련됐던 한국관광공사의 청년 축제 기획자 육성 사업이 처음 시행됐다. 당시 8대1의 경쟁을 뚫고 당당히 청년 축제인이 된 두 친구는 그렇게 문경문화관광재단에 처음 출근을 하게 됐다.
아직 인턴이긴 하지만 당당히 축제 기획자가 됐으니 출근하자마자 문경의 대표 브랜드인 사과 축제나 찻사발 축제에 관여할 줄 알았다. 그러나 현실은 현실일 뿐. 사회 초년생에게 대형 프로젝트를 바로 맡길 리 만무했다. 또 크고 작은 이벤트성 행사에 오미자, 약돌한우 등 지역 특산물 행사는 왜 이리도 많은지. 거기다 엄격한 행정 절차와 행정 서류 작성은 상상치 못한 난관이었다.
그러나 김군과 정군의 진가는 오미자에서 빛을 발했다. 코로나19 때문에 모든 축제가 취소되던 시기에 문경은 순발력 있게 온라인 개최를 결정했는데, 프로 댄서였던 정군은 온라인 마케팅의 디자인, 영상 제작, 홈페이지 관리, 축제에 어울리는 음악까지 뭐든 뚝딱 만들어 냈다. 심지어 근무 중에도 심심하다 싶으면 직접 무대에 올라 춤도 춘다. 한편 성격이 온화하고 서글서글한 김군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담은 기획안을 만들고 품의서나 행정 서류 등을 도맡아 넉살 좋게 윗분들의 허락을 잘도 받아 냈다.
무작정 달려드는 이들의 에너지가 좋았던 것일까. 오미자 청년들의 도전은 성과도 빨랐다. 축제에서 판매되던 오미자의 매출이 이전 대비 150%를 넘었고, 문경 사과축제의 경우에는 코로나 이전보다 2배 이상 높은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코로나 때문에 울상이던 문경 농민들에게는 오미자 청년들이 대박을 터트려 준 셈이다.
문경문화관광재단의 이재은 축제팀장은 “지역은 축제나 행사의 홍보가 중요한데, 두 친구는 감각이 굉장히 좋다. 덕분에 올해 문경 찻사발축제는 온라인 접속자 수가 500만명을 넘어 내부적으로 분위기가 굉장히 좋다. 이런 인재들이 지역에 대해 비전을 갖고 앞으로도 계속 함께해 주면 좋겠다”며 직원 자랑이 그칠 줄 몰랐다.
평소 말수가 적은 김군은 원래 내성적이고 낯가림이 심했는데, 좋아하는 일을 하다 보니 성격이 밝게 바뀌는 게 느껴진다며 신기해했다. 그리고 소심하게 던지는 한마디. “저 주임됐어요.”
축제 뒷정리 아르바이트로 시작해 주임님이 된 문경의 오미자 청년들. 코로나보다 더 힘든 역경이 와도 꿋꿋이 이겨 내길 바란다. 어차피 한국 축제의 미래는 지역 곳곳에 뿌리내린 주임님들 손에 달렸으니까.
2022-06-2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