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청사 이전’ 장밋빛일까

‘광주시교육청 청사 이전’ 장밋빛일까

서미애 기자
서미애 기자
입력 2022-06-22 13:45
수정 2022-06-22 13: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정선 당선인 “타당성 등 면밀한 검토” 불구
부지확보와 1000억원대 사업 재원 마련 과제
광산구 신창지구 시교육청소유 유휴부지 유력

2011년부터 이전계획 추진 불구 ‘11년째 표류’
추진-무산 재추진 반복에 땅값 2배 상승 부담
유휴부지 활용과 예산 등 철저한 계획 세워야

이미지 확대
광주시 서구 화정동에 위치한 광주시교육청 모습.
광주시 서구 화정동에 위치한 광주시교육청 모습.
광주광역시교육감 인수위원회가 오랜 숙원인 광주시교육청 청사 이전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지만 부지와 1000억원대에 이르는 예산을 마련하는 것이 관건이다.

특히 사업비 1000억원에는 토지 구입비가 포함되지 않아 사실상 광주시교육청이 보유한 광산구 신창지구 토지 이전이 유력하다는 분위기다.

현재 광주시교육청은 광주시 서구 화정동에 있지만 지난 2011년 초 광주 북구 매곡동 옛 전남도교육청 부지를 활용하자면서 이전을 시도했다가 무산됐다. 이어 상무소각장 부지와 옛 경찰청 부지를 놓고 이전을 추진했지만 모두 무산됐다.

2019년에는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추진되는 중앙공원을 이전부지로 잡고 계획을 세웠으나 이 또한 무산됐다.

이처럼 2011년부터 청사 이전 계획이 추진-무산-재추진-무산이 반복됐다. 11년째 표류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당선인이 다시 이 카드를 꺼냈다. 교육감 인수위원회가 현재 청사 이전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청사 이전 후보지로 광산구와 서구에 있는 공용부지가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이전 필요성

왜 이렇게 오랫동안 광주시교육청 이전이 거론될까.

1988년 개청한 광주시교육청은 우선 시설이 낡았고 사무공간이 좁은 데다 주차 공간이 크게 부족하기 때문이다.

개청 후 33년 동안 조직이 확대돼 현 청사는 포화상태라는 것이다. 면적이 1만㎡로 경기, 전남, 울산, 전북교육청의 3분의 1에 불과하고 연건평도 절반이 안된다. 반면 개청 당시 142명이었던 근무 인원은 2021년 487명으로 3.5배 정도 늘었다. 이 때문에 사무실과 주차 공간이 크게 부족해 업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 이전 부지

인수위는 새 청사 부지 면적을 2만5000㎡ 이상,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로 구상하고 있다. 예상 신축비는 1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여기에는 토지구입비가 포함되지 않았다.

현재 논의 중인 청사 이전 부지로 광주 서구 중앙공원과 광산구에 있는 시교육청 소유 유휴부지와 택지개발 또는 개발사업 예정지가 거론되고 있다.

먼저 광주시 서구 중앙공원 1지구에 대해서는 광주시가 난색을 보이고 있다. 광주시 나름대로 공원 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광주시교육청이 보유한 광산구 신창지구 유휴부지 (구)공무원 연수원에 청사를 이전하는 것이 유력하다는 얘기가 들린다. 현재 이곳에는 광주시교육청 시설감리단과 특수교육지원센터 그리고 용연학교가 입주해 있다.

광주시교육청 한 관계자는 “광산구 신창지구 유휴부지는 우선 부지 구입비 부담이 없다”면서 “현재 시교육청 시설감리단이 쓰고 있는데 면적이 넓고 주차시설이 잘 돼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 신축 예산

광주시교육청 청사 이전 계획이 11년째 표류하면서 애당초 책정한 사업비는 500억원에서 1000억원대로 껑충 뛰었다.

그만큼 현 인수위가 져야 할 부담이 늘어났다.

하지만 현 청사 부지를 매각하면 충분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전해진다.

현 청사 주변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어 이곳도 아파트 신축 부지로 활용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 당선인은 당선 후 지역 뿐 아니라 중앙정치권 인사들을 만나 청사신축 예산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